학생 3명 중 1명이 비만… 설탕 음료 즐기고 운동은 안 해

입력 2024.10.07 17:15
비만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초·중·고 학생 3명 중 1명은 비만 상태다. 2023년 학생 건강검사에 따르면 비만군 비율은 2023년 29.6%였다. 소아청소년 비만의 증가는 패스트푸드, 설탕 음료 섭취 증가 등 잘못된 식습관과 신체 활동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소아청소년기 비만은 성장을 방해하고, 향후 당뇨병, 심혈관 문제, 관절 문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설탕 음료 섭취 증가… 운동은 안 해
많은 청소년들이 아침은 먹지 않고, 패스트푸드와 설탕이 함유된 음료를 즐기고 있다. 가정에서 온전한 식사를 하기 보다 편의점이나 패스트푸드 식당에서 한 끼를 때우는 소아청소년들이 늘고 있는 것. 2023년 학생 건강검사에 따르면 아침식사 결식률(주5일 이상)은 2023년 남학생 39.7%, 여학생 42.6%였고, 패스트푸드 섭취율(주3회 이상)은 남학생 29.2%, 여학생 24.4%였다.

신체활동은 부족하다. 남자 중·고등학생의 신체활동실천율(하루 60분 주 5일 이상 숨이 찬 정도의 신체활동)은 24.6%로 2014년(19.2%) 이후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긴 하지만 여전히 부족하다. 체중 유지, 성장 발달,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매일 60분 이상의 규칙적인 신체 활동을 해야 한다.   

수면 패턴과 정신 건강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성장, 정서 발달, 학업 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와 불안, 우울증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하이키한의원 박승찬 원장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이 늘면서 운동 부족, 늦은 수면 등의 문제가 심각하다”며 “비만은 물론 성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소아청소년 건강을 위한 제언
박승찬 원장은 소아청소년 건강을 위해 다섯가지 조언을 했다. 첫째, 학교와 지역 사회에서는 소아청소년이 스포츠 및 야외 활동에 참여하도록 장려해야 한다. 둘째,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과 해로운 음식을 스스로 구분하도록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교육을 강화한다. 셋째,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체중 모니터링은 비만 위험이 있는 소아청소년을 식별하고 전문가의 조기 개입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넷째, 학교와 지역 사회는 아이들이 스트레스와 정신 건강 문제를 관리할 수 있도록 더 나은 정신 건강 지원 시스템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만들 수 있도록 학교와 부모님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