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콤한 간식을 아예 먹지 않는 것보다 작은 초콜릿 바 하나 정도는 먹는 게 심장 건강에 더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룬드대 영양역학과 수잔 잔지 교수팀은 설탕 섭취량과 심혈관질환 사이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45~83세 성인 6만 9705명을 대상으로 1997년과 2009년에 식단을 조사했다. 탄산음료·간식 등 어떤 형태로 설탕을 섭취했는지, 1주일에 얼마나 자주 섭취했는지 등을 실험 참가자에게 설문 조사했다. 이후 2019년까지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장기 추적했다. 약 2만 6000명이 심혈관질환 진단을 받았다.
분석 결과, 설탕을 일일 섭취 칼로리의 5~7.5% 섭취한 사람이 5% 이하로 섭취한 사람보다 뇌졸중 위험은 약 17%, 심장마비 위험은 20%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맥류, 심부전 등 다른 심혈관 질환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그 이상 과량 섭취를 했을 땐 다시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이 커졌다.
연구팀은 "설탕을 완전히 피하는 것보다 가끔 달콤한 간식을 먹는 게 심장에 좋을 수 있다"며 "설탕을 아예 먹지 않거나 소량 섭취한 사람은 설탕 대신 포화 지방 등 몸에 안 좋은 음식을 먹을 가능성이 컸다"고 했다. 이어 "이미 심장 건강이 안 좋아 설탕 섭취를 제한한 사람도 포함됐을 수 있다"고 했다.
어떤 종류의 설탕을 섭취하는지에 따라서도 심혈관질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졌다. 탄산음료 등 액상과당을 섭취할 때 심혈관질환 위험이 커졌는데, 탄산음료를 1주일에 8회 이상 섭취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심장 동맥류 발병 위험이 약 33% 증가했다. 심부전이나 뇌졸중 위험은 20%, 심부전 위험은 10% 커졌다.
잔지 교수는 "액상 과당을 마시면 포만감이 없어 오히려 식욕이 촉진돼 더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게 된다"며 "간식은 특별한 음식이지만, 탄산음료는 규칙적으로 소비될 수 있다는 게 문제"라고 했다.
우리나라는 당 섭취량이 총에너지 섭취량의 20%가 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고, 특히 탄산음료 등으로 섭취할 수 있는 첨가당은 10% 이내로 섭취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Frontiers in Public Health'에 최근 게재됐다.
스웨덴 룬드대 영양역학과 수잔 잔지 교수팀은 설탕 섭취량과 심혈관질환 사이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45~83세 성인 6만 9705명을 대상으로 1997년과 2009년에 식단을 조사했다. 탄산음료·간식 등 어떤 형태로 설탕을 섭취했는지, 1주일에 얼마나 자주 섭취했는지 등을 실험 참가자에게 설문 조사했다. 이후 2019년까지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장기 추적했다. 약 2만 6000명이 심혈관질환 진단을 받았다.
분석 결과, 설탕을 일일 섭취 칼로리의 5~7.5% 섭취한 사람이 5% 이하로 섭취한 사람보다 뇌졸중 위험은 약 17%, 심장마비 위험은 20%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맥류, 심부전 등 다른 심혈관 질환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그 이상 과량 섭취를 했을 땐 다시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이 커졌다.
연구팀은 "설탕을 완전히 피하는 것보다 가끔 달콤한 간식을 먹는 게 심장에 좋을 수 있다"며 "설탕을 아예 먹지 않거나 소량 섭취한 사람은 설탕 대신 포화 지방 등 몸에 안 좋은 음식을 먹을 가능성이 컸다"고 했다. 이어 "이미 심장 건강이 안 좋아 설탕 섭취를 제한한 사람도 포함됐을 수 있다"고 했다.
어떤 종류의 설탕을 섭취하는지에 따라서도 심혈관질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졌다. 탄산음료 등 액상과당을 섭취할 때 심혈관질환 위험이 커졌는데, 탄산음료를 1주일에 8회 이상 섭취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심장 동맥류 발병 위험이 약 33% 증가했다. 심부전이나 뇌졸중 위험은 20%, 심부전 위험은 10% 커졌다.
잔지 교수는 "액상 과당을 마시면 포만감이 없어 오히려 식욕이 촉진돼 더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게 된다"며 "간식은 특별한 음식이지만, 탄산음료는 규칙적으로 소비될 수 있다는 게 문제"라고 했다.
우리나라는 당 섭취량이 총에너지 섭취량의 20%가 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고, 특히 탄산음료 등으로 섭취할 수 있는 첨가당은 10% 이내로 섭취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Frontiers in Public Health'에 최근 게재됐다.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