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암, 2019년부터 우리나라 암 순위 10위에 포함
옆구리 통증, 혈뇨 등 증상 있기 전 조기 검진 중요

2월 4일은 세계 암의 날이다. 40년째 한국인 사망원인 1위를 지키고 있는 ‘암’. 우리나라에서는 폐암, 갑상선암, 대장암, 위암, 유방암 등이 가장 흔하다. 하지만 꾸준히 환자 수가 증가하면서 2019년부터 새롭게 한국인 10대 암에 포함되기 시작한 암이 있다. 바로 ‘신장암’이다.
신장암은 횡격막 아래, 척추의 양옆에 위치한 '신장'에 생기는 암으로 대개는 '신세포암'을 칭한다. 신세포암이란 신장의 신실질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신장에서부터 시작하는 원발성 종양이다.
신장암의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기존 신장 질환과 다양한 환경적·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흡연 ▲비만 ▲음주 ▲고혈압 ▲식습관 등이 신장암의 주요 위험 인자다.
신장암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알아채기 쉽지 않다. 소변에 피가 나오거나 옆구리 통증, 복부 종괴 등이 주된 증상이지만 이러한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경우는 전체의 10~15% 정도다. 이대목동병원 혈액종양내과 조정민 교수는 "옆구리 통증이나 혈뇨도 신장암의 증상이지만, 이러한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이미 신장암이 상당히 진행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따라서 신장암 가족력이 있거나 만성 신부전, 다낭성 신질환등 평소 신장 질환을 앓고 있어 신장암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건강검진 시 복부 초음파나 CT 등을 시행하는 게 좋다.
신장암 치료는 수술이 가능한 경우 수술로 완전 절제를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위험군의 그룹에 따라 예후 차이가 크다. 저위험군, 중간위험군, 고위험군으로 나눠 전문의의 판단에 따라 표적항암제 단독이나 면역항암제의 병합요법, 면역항암제와 표적치료제의 병합요법 중에 적절하게 선택해 1차 치료를 한다. 병기가 높은 경우에는 수술 후에도 초기 1~2년 후 재발할 가능성이 높아 꾸준한 관리와 추적 관찰이 필수다.
조정민 교수는 "신장암은 발병률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암이다"며 "초기에 발견할 경우 90%에서 완치가 가능하니 평소 건강검진을 잘하고, 의심 증상이 있다면 빠르게 전문의를 찾아 적절한 도움을 받길 바란다"고 말했다.
신장암은 횡격막 아래, 척추의 양옆에 위치한 '신장'에 생기는 암으로 대개는 '신세포암'을 칭한다. 신세포암이란 신장의 신실질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신장에서부터 시작하는 원발성 종양이다.
신장암의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기존 신장 질환과 다양한 환경적·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흡연 ▲비만 ▲음주 ▲고혈압 ▲식습관 등이 신장암의 주요 위험 인자다.
신장암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알아채기 쉽지 않다. 소변에 피가 나오거나 옆구리 통증, 복부 종괴 등이 주된 증상이지만 이러한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경우는 전체의 10~15% 정도다. 이대목동병원 혈액종양내과 조정민 교수는 "옆구리 통증이나 혈뇨도 신장암의 증상이지만, 이러한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이미 신장암이 상당히 진행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따라서 신장암 가족력이 있거나 만성 신부전, 다낭성 신질환등 평소 신장 질환을 앓고 있어 신장암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건강검진 시 복부 초음파나 CT 등을 시행하는 게 좋다.
신장암 치료는 수술이 가능한 경우 수술로 완전 절제를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위험군의 그룹에 따라 예후 차이가 크다. 저위험군, 중간위험군, 고위험군으로 나눠 전문의의 판단에 따라 표적항암제 단독이나 면역항암제의 병합요법, 면역항암제와 표적치료제의 병합요법 중에 적절하게 선택해 1차 치료를 한다. 병기가 높은 경우에는 수술 후에도 초기 1~2년 후 재발할 가능성이 높아 꾸준한 관리와 추적 관찰이 필수다.
조정민 교수는 "신장암은 발병률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암이다"며 "초기에 발견할 경우 90%에서 완치가 가능하니 평소 건강검진을 잘하고, 의심 증상이 있다면 빠르게 전문의를 찾아 적절한 도움을 받길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