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 장에 정착해야 효과적
보장균수보다 장 생존력이 중요
EPS 다당류 유산균 감싸 생존력 높여
EPS 자체 생산 균주, 국내 특허 完

'보장균수' 많은지보다 '잘 정착하는 균'인지 확인
보장균수의 의미를 '이 제품을 먹으면 이만큼의 유산균이 살아서 장내에 도달한다'는 의미로 이해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보장균수는 특정 유효기간까지 살아있는 유산균의 수를 뜻한다. 섭취한 유산균은 위산, 담즙, 췌장액 등에 의해 위와 십이지장에서 상당수가 사멸한다. 특정 유효기간까지 살아남을 수 있는 균이래도 장까지 살아서 도달하진 못할 수 있다. 게다가 우리 몸엔 약 39조개의 미생물이 있다. 균수가 아무리 많은 유산균 제품을 먹어도 바다에 물 몇 방울을 더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장내의 기존 미생물 체계에 섞여들지 못하면 체외로 배설되고 만다. 많은 보장균수를 자랑하는 유산균을 먹어도 효과가 없었던 이유다.
보장균수만 봐선 안 된다.'살아서 장에 도달하고, 장에 잘 정착하는 균'을 먹는 게 유리하다. 유산균이 살아서 장까지 도달할 확률을 높이려 첨가하는 게프리바이오틱스와 포스트바이오틱스다. 프리바이오틱스는 유산균의 먹이, 포스트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생성하는 대사산물이다. 둘 다 유산균의 자생을 돕는다. 생존력이 뛰어난 균주를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다. 최근 2023 IPC 국제학회에서 한국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유산균이 높은 생존력으로 주목받았다. 가천대와 동아제약이 공동 개발해 특허 등록한 'EPS 균주'다.
내 몸과 공생… 장 생존에 특화된 'EPS 균주'
EPS(Exopolysaccharides, 엑소폴리사카라이드)는 미생물이 생성하는 당류를 말한다. 프리바이오틱스와 포스트바이오틱스 중에선 후자로 분류된다. 낫토처럼 끈적한 점성이 있어, 사람 몸에서 사멸하기 쉬운 균주를 감싸 안전하게 보호해준다. 균주가 장 내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게 돕는데다, 점성 덕에 장 부착 능력도 뛰어나다. 가천대·동아제약 공동 연구팀은 건강한 한국인의 장에서 유래한 균주 중,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EPS DA-BAC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EPS DA-LAIM이 EPS를 자체적으로 생성해 별도의 포스트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 없이도 장에 붙어 안정적으로 생존하는 것을 발견했다.
EPS를 스스로 생성해내는 덕에 'EPS 균주'는 몸의 기존 미생물 체계에도 잘 녹아든다. 섭취한 유산균이 몸에 자리 잡지 못하면 대변을 통해 배설돼 몸에 유산균이 머무르는 동안만 효과가 일시적으로 나타난다. 'EPS 균주'는 유산균을 죽이는 담즙· 췌장액 등에 내성이 있고, 산성의 환경에서도 생존해 체내 환경에 잘 적응한다.
SCI급 국제저널 '마이크로오가니즘'과 '식품과학과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실린 연구 결과에 의하면, EPS는 프리바이오틱스의 하나인 '이눌린'보다 장내 유익균주인 락토바실러스균과 비피더스균의 증식에 더 효과적이다. 이눌린 대신 EPS를 투여한 경우 락토바실러스균은 3.2배, 비피더스균은 13배 더 많았다. 유해균 생장 억제 활동은 최대 67% 더 뛰어났다.
구강·질에도 EPS 적용 가능
생소한 이름 탓에 EPS에 거리감이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EPS는 우리 삶 속에 아주 오래전부터 있던 물질이다. 발효유, 김치 등 음식에 들어 있어 선조들이 예로부터 섭취해왔기 때문이다. 'EPS 균주'역시 건강한 한국인의 장에서 찾은 균주다. 이에 다른 균주보다 한국인의 고유 미생물 생태계에 녹아들기 유리하다. EPS는 장뿐 아니라 구강, 질 등 인체에 미생물이 밀집한 부위면 어디든 적용할 수 있다. 그 자체로 콜레스테롤 감소, 면역 조절, 항암효과, 변비 개선 등의 생리 활성 기능을 갖추고 있기도 하다.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