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고리를 돌리거나, 걸레를 짤 때 새끼손가락 쪽 손목에 통증이 생긴다면 척골충돌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
척골충돌증후군은 반복적으로 손목을 과도하게 사용해 손목 관절을 이루는 척골(아래 팔 뼈 중 새끼손가락 쪽 뼈)과 수근골(손바닥과 손목이 이어지는 곳에 있는 8개의 소골) 사이 충돌이 일어나면서 손목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동양인에게 서양인보다 더 잘 발생하는데, 동양인이 서양인보다 척골이 아래 팔뼈 중 엄지손가락 쪽 뼈인 요골보다 길기 때문이다. 척골충돌증후군이 발병했다면 척골과 수근골 사이에 있는 삼각 섬유 연골도 반복적인 손상으로 마모되고 퇴행성 파열이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
척골충돌증후군은 반복적으로 손목을 과도하게 사용해 손목 관절을 이루는 척골(아래 팔 뼈 중 새끼손가락 쪽 뼈)과 수근골(손바닥과 손목이 이어지는 곳에 있는 8개의 소골) 사이 충돌이 일어나면서 손목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동양인에게 서양인보다 더 잘 발생하는데, 동양인이 서양인보다 척골이 아래 팔뼈 중 엄지손가락 쪽 뼈인 요골보다 길기 때문이다. 척골충돌증후군이 발병했다면 척골과 수근골 사이에 있는 삼각 섬유 연골도 반복적인 손상으로 마모되고 퇴행성 파열이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

척골충동증후군이라면 주로 척골이 연결된 새끼손가락 쪽 손목 관절이 아프다. 특히 새끼손가락 쪽 손목뼈 사이 오목한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이 강하게 나타나곤 한다. 보통 문고리를 돌려 열거나 걸레를 짜는 등 손목을 이용하는 일상적인 행동을 할 때와 테니스, 골프, 야구 등 기구 운동을 할 때 손목 통증이 동반된다. 헬스, 복싱 등 맨손 운동을 할 때도 손목을 이용하는 동작에서는 통증이 생긴다.
정확하게 진단하려면 X-레이를 찍어 요골보다 척골이 더 긴지 확인해봐야 한다. 증상이 심하다면 삼각섬유연골복합체 파열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 MRI(자기공명영상법) 검사를 받아볼 수도 있다.
초기 척골충돌증후군은 손 사용을 줄이거나 물리치료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질환이 진행돼 손 사용을 줄여도 손목 통증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약물 치료나 주사 치료 등으로 나아질 수 있다.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를 시행해도 증상이 회복되지 않고 일상적인 동작에도 통증이 지속되면 수술을 고려한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형외과 강종우 교수는 "척골충돌증후군 수술적 치료로는 긴 척골 일부를 잘라내 손목뼈 길이를 맞추는 척골 단축술과 손목 관절경으로 파열된 삼각섬유연골복합체 부위를 절제해 다듬어주거나 봉합하는 수술이 있다"며 "수술 경과가 좋은 편"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척골충돌증후군이 만성화되지 않도록 증상을 조절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상생활에서 손목뿐만 아니라 관절 손상을 예방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 스트레칭이다. 손목을 사용하는 활동을 하기 전에는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손목을 풀어줘야 한다. 가볍게 손목을 구부리거나 반대로 펴는 손목 스트레칭이 도움이 된다. 특히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에 종사한다면 손목 스트레칭을 자주 해 손목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가급적 줄여주는 것이 좋다. 운동할 때도 손목에 부담을 주는 행동은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일례로 골프 스윙을 할 때 공을 찍어 치는 동작은 손목에 충격이 가중돼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또 손목을 많이 사용해야 할 때는 손목 보호대를 착용해 손목을 보호할 수 있다.
강종우 교수는 "평소 과도한 손목 사용은 자제하고 장시간 손목 사용 후에는 온찜질로 손목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 삼각섬유연골파열 예방에 도움이 된다"며 "무엇보다 일상생활 중에 손목 통증이 느껴진다면 그냥 넘기지 말고 가까운 정형외과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확하게 진단하려면 X-레이를 찍어 요골보다 척골이 더 긴지 확인해봐야 한다. 증상이 심하다면 삼각섬유연골복합체 파열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 MRI(자기공명영상법) 검사를 받아볼 수도 있다.
초기 척골충돌증후군은 손 사용을 줄이거나 물리치료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질환이 진행돼 손 사용을 줄여도 손목 통증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약물 치료나 주사 치료 등으로 나아질 수 있다.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를 시행해도 증상이 회복되지 않고 일상적인 동작에도 통증이 지속되면 수술을 고려한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형외과 강종우 교수는 "척골충돌증후군 수술적 치료로는 긴 척골 일부를 잘라내 손목뼈 길이를 맞추는 척골 단축술과 손목 관절경으로 파열된 삼각섬유연골복합체 부위를 절제해 다듬어주거나 봉합하는 수술이 있다"며 "수술 경과가 좋은 편"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척골충돌증후군이 만성화되지 않도록 증상을 조절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상생활에서 손목뿐만 아니라 관절 손상을 예방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 스트레칭이다. 손목을 사용하는 활동을 하기 전에는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손목을 풀어줘야 한다. 가볍게 손목을 구부리거나 반대로 펴는 손목 스트레칭이 도움이 된다. 특히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에 종사한다면 손목 스트레칭을 자주 해 손목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가급적 줄여주는 것이 좋다. 운동할 때도 손목에 부담을 주는 행동은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일례로 골프 스윙을 할 때 공을 찍어 치는 동작은 손목에 충격이 가중돼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또 손목을 많이 사용해야 할 때는 손목 보호대를 착용해 손목을 보호할 수 있다.
강종우 교수는 "평소 과도한 손목 사용은 자제하고 장시간 손목 사용 후에는 온찜질로 손목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 삼각섬유연골파열 예방에 도움이 된다"며 "무엇보다 일상생활 중에 손목 통증이 느껴진다면 그냥 넘기지 말고 가까운 정형외과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占쎌꼶利뷸�⑨옙 占쎈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