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중독은 여름 질환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가을에도 흔히 발생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지난 5년(2017~2021년)간 가을철(9~11월) 식중독 환자는 1836명으로, 전체의 31%에 해당한다. 지난 12일에도 식약처는 보도자료를 통해 가을철 식중독 주의를 당부했다.
가을 날씨는 아침저녁으로 쌀쌀하지만, 낮이 되면 식중독균이 증식할 정도로 기온이 높아진다. 그러나 서늘한 날씨 때문에 식품 보관에 부주의하거나 개인위생에 소홀할 수 있다.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등이 식중독을 일으키는데, 특히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은 가을철 발생비율이 높다. 식약처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가을철 살모넬라균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건수는 전체의 약 40%를 차지했다. 살모넬라균은 닭, 오리 등 가금류와 돼지 등 동물의 장내나 자연에 널리 퍼져있는 식중독균이다.
식중독균에 감염되면 발열, 두통, 오심, 복통, 설사 등이 나타난다.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병원 진료 후 항생제를 복용해야 한다. 구토와 설사가 반복된다면 음식 섭취는 삼가고 이온음료를 마셔야 한다. 전해질이 포함돼있어 탈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설사를 멈추는 지사제는 식중독 원인균을 장 속에 오래 머물게 해 좋지 않다. 이틀 이상 설사가 지속되면 수액을 맞는 등 추가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식중독은 예방이 중요하다. 식약처는 식중독 예방 6대 수칙으로 ▲손 씻기 ▲세척·소독하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구분 사용하기 ▲보관온도 지키기를 강조했다. 달걀과 닭을 만진 뒤 손은 깨끗이 씻고 도마, 칼 등 조리도구도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가열하는 것도 중요한데, 육류는 75도 이상, 어패류는 85도 이상에서 1분간 가열하는 것만으로도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칼·도마를 채소용, 고기용, 생선용으로 구분해서 사용해야 하며, 육류와 달걀은 조리 전까지 냉장고에 보관해야 한다. 야외활동 시 햇볕이 드는 차량 내부, 트렁크 등에는 음식을 2시간 이상 방치하지 말고 아이스박스를 이용해 보관·운반해야 한다.
가을 날씨는 아침저녁으로 쌀쌀하지만, 낮이 되면 식중독균이 증식할 정도로 기온이 높아진다. 그러나 서늘한 날씨 때문에 식품 보관에 부주의하거나 개인위생에 소홀할 수 있다.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등이 식중독을 일으키는데, 특히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은 가을철 발생비율이 높다. 식약처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가을철 살모넬라균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건수는 전체의 약 40%를 차지했다. 살모넬라균은 닭, 오리 등 가금류와 돼지 등 동물의 장내나 자연에 널리 퍼져있는 식중독균이다.
식중독균에 감염되면 발열, 두통, 오심, 복통, 설사 등이 나타난다.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병원 진료 후 항생제를 복용해야 한다. 구토와 설사가 반복된다면 음식 섭취는 삼가고 이온음료를 마셔야 한다. 전해질이 포함돼있어 탈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설사를 멈추는 지사제는 식중독 원인균을 장 속에 오래 머물게 해 좋지 않다. 이틀 이상 설사가 지속되면 수액을 맞는 등 추가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식중독은 예방이 중요하다. 식약처는 식중독 예방 6대 수칙으로 ▲손 씻기 ▲세척·소독하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구분 사용하기 ▲보관온도 지키기를 강조했다. 달걀과 닭을 만진 뒤 손은 깨끗이 씻고 도마, 칼 등 조리도구도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가열하는 것도 중요한데, 육류는 75도 이상, 어패류는 85도 이상에서 1분간 가열하는 것만으로도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칼·도마를 채소용, 고기용, 생선용으로 구분해서 사용해야 하며, 육류와 달걀은 조리 전까지 냉장고에 보관해야 한다. 야외활동 시 햇볕이 드는 차량 내부, 트렁크 등에는 음식을 2시간 이상 방치하지 말고 아이스박스를 이용해 보관·운반해야 한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