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독 아침에 눈이 건조하고 아프다면 단순 안구건조증이 아닌 ‘재발성 각막상피미란’을 의심할 수 있다.
재발성 각막상피미란은 손톱이나 나뭇가지 등에 긁혀 벗겨진 각막상피가 각막기질에 정상적으로 붙지 못해 계속해서 벗겨지는 질환이다. 눈썹이 안구를 찌르거나 각막상피세포 유전이상‧당뇨병 등이 있는 경우에도 생길 수 있다.
증상으로는 눈뜰 때 뻑뻑함, 따가움을 비롯해 찢어지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 눈물흘림, 눈부심, 이물감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병이 쉽게 재발하기 때문에 한 번 걸렸을 때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약한 자극에도 쉽게 각막이 벗겨져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다. 각막상피는 눈의 가장 바깥에 위치하며 눈을 보호하는 1차 방어선 역할을 하는데, 각막상피가 벗겨지면 세균과 바이러스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이다.
낮에는 증상이 완화되는 특징 때문에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조기 치료를 위해서 반드시 검사를 받도록 한다. 심한 각막염이 동반되지 않았다면 일차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다. 환자 상태에 따라 인공누액‧치료용 콘택트렌즈‧압박안대‧안연고 등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에도 효과가 없으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각막을 절제하는 병변 부위가 국소적인 표층각막절제술이나 주삿바늘을 이용하는 전부기질천자술은 큰 부담 없이 시행할 수 있다. 여러 치료에도 병이 자주 재발하면 치료레이저 각막 절제술을 고려한다.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