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아교정을 하더라도 비발치, 즉 이 뽑지 않기를 고수하는 사람이 많다. 발치하면 교정 치료 기간이 오래 걸리고, 입이 너무 들어갈지 모른다는 두려움 등 때문이다.
실제 치과에서 교정을 위해 발치를 권하는 때는 발치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비발치보다 더 높을 때에 한한다. 더불어 최근 투명교정이나 상악골 확장 장치, 어금니 후방이동, 치아 사이 삭제 등이 잘 쓰이면서 전보다 비발치를 할 여지가 많아졌다.
치아교정을 위해 발치를 해야 할 때는 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송곳니 바로 뒤쪽 작은 어금니를 뽑는다. 앞니와 송곳니, 큰어금니가 각각의 역할이 확실한 반면 작은 어금니는 큰 어금니와 송곳니로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에 발치했을 때 손실이 작기 때문이다.
센트럴치과 강승구 원장은 치아교정 시 발치의 필요성을 이해하려면 '꽉 찬 바구니'를 떠올려보라고 했다. 강 원장은 "바구니는 작은데 물건이 크고 많은 경우 여기저기 튀어나오거나 과도하게 쌓이는 경우가 있다"며 "이때 물건을 적당히 덜어내면 예쁘게 정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처럼 잇몸뼈가 작으면 좁은 공간에서 치아가 앞으로 밀려 뻐드렁니가 되거나 튀어나와 덧니가 되기도 한다"며 "때문에 발치를 통해 공간을 확보한 후 치아를 재배열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크기가 고정된 작은 바구니를 키울 수 없으니 담긴 물건을 덜어내야 예쁘고 반듯하게 물건을 정리할 수 있다는 의미다.
따라서 치아교정을 결정할 때 발치로 진행하는 것이 좋을지, 비발치교정을 진행하는 것이 좋을지 이미 결정되어 있다는 것이 강승구 원장의 설명이다. 강승구 원장은 "발치와 비발치의 경계에 있는 경우 이외에는 무조건적으로 한 가지를 고집하기보다 정밀검사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교정방식이 어떤 것인지 우선 파악한 후 진단에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