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발표

국내서 발생하는 화상(火傷) 사고가 집에서 일상생활을 하던 중 가장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의 최근 6년(2012~2017년) 화상 사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3일 발표했다.
그 결과, 6년간 참여 의료기관(23개) 응급실에 화상으로 내원한 환자는 3만7106명이었고, 이중 2.8%가 입원, 0.2%가 사망했다.
연령별로는 0~4세 영유아가 29.3%로 가장 많았지만, 입원율은 65세 이상에서 15.2%로 가장 높았다.
<화상 내원 환자 연령별 분포> <연령별 화상 환자 입원율 분포>

시기로 봤을 때는 매월 7.2~9.8%로 월별, 계절별 큰 차이가 없었다.
화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집(66.5%)이었고, 상업시설(18.6%), 공장·산업·건설시설(4.3%) 순이었다. 활동별로는 일상생활 중에 화상을 입는 경우가 61.7%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업무(28.1%), 여가활동(6.9%) 순이었다.
화상 사고 원인은 끓는 물과 같은 뜨거운 물체 및 음식(69.5%)이 가장 많았고, 전기주전자 및 오븐 등 상시 이용물품(11.7%)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화상 원인별 내원환자 분율>

화상은 크게 5가지 종류로 나뉜다. 대표적인 것이 열탕화상이다. 열탕화상은 뜨거운 물, 식용유, 수증기 등 주로 2도 화상이 많으며, 어린이가 많이 입는 화상이다. 화염화상은 프로판, LGP가스의 폭발로 인한 화상이다. 대개 상처가 깊고, 호흡기 손상을 동반할 수 있다. 전기화상은 전류가 몸에 감전되면서 발생하는 화상이다.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낮은 전압에서도 화상을 입을 수 있고, 종종 심각한 후유증이 발생한다. 화학화상은 산, 알칼리(양잿물 등)나 일반 유기 용매제에 접촉해 입는 화상으로, 심각한 장애가 생길 수 있다. 접촉화상은 뜨거운 철판, 다리미, 전기장판 등에 화상을 입는 것이다. 대부분 3도 화상으로 진행한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화상 원인은 매우 다양하므로 원인별 안전수칙을 꼼꼼히 살펴 숙지하고, 영유아뿐만 아니라 거동이 어렵거나 평소 약을 복용하시는 노약자도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영유아 열탕화상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 물이 빠르게 뜨거워지는 개수대나 흐르는 물에서 아이를 씻기지 말고 욕조에 물을 받아 사용하세요.
▶ 아이를 욕조에 두기 전에 물의 온도를 확인하세요.
▶ 뜨거운 음식, 음료 등은 아이들이 닿지 않는 곳에 놓아 두세요.
▶ 아이를 안은 채로 뜨거운 음식을 먹지 마세요. 아이가 갑자기 움직이면 위험해요.
▶ 아이들이 쉽게 잡아당길 수 있는 식탁보나 식탁매트는 사용하지 마세요.
▶ 손잡이가 있는 도구를 가열할 때엔 손잡이를 안쪽방향으로 돌려 놓으세요. 아이들이 손을 뻗어 만질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