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실금 증상 생기는 골반장기탈출증, 자궁 적출 없이 치료 가능해

입력 2016.08.23 17:50

주부 김모(50)씨는 최근 소변이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자주 마려워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었다.  심지어 질 주변에는 둥그스름한 혹 같은 것이 튀어나와 혹시 심각한 병에 걸린 것이 아닐까 걱정됐다. 결국 김씨는 병원을 찾아 정밀 검사를 받았고, 그 결과 '골반장기탈출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질성형수술을 시술하고 있는 모습
골반 안쪽 장기가 밑으로 처지거나 질 밖으로 빠져 나오는 골반장기탈출증은 상황에 따라 질성형수술을 통해 자궁을 유지하면서 질환 치료가 가능하다/사진=리즈 산부인과 제공

‘밑 빠진 병’으로도 불리는 골반장기탈출증은 골반 안에 있는 자궁이나 방광, 직장 같은 장기가 밑으로 처지거나 질 밖으로 빠져 나오는 질병이다. 요실금이나 골반장기탈출증은 출산경험이 있는 여성의 50% 에서 발생할 수 있는 흔한 질환이지만 노년의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여기거나 혹은 수치심으로 인해 생활의 불편함을 감수함으로써 질환을 키우는 경우가 매우 많다. 하지만 자궁,  질,  방광,  직장을 지지하고 있는 골반 바닥부위의 근육 약화로 인해 뱃속 장기가 질내 혹은 질밖으로 돌출되어 나오는 골반장기탈출증의 경우 오래 방치할 경우엔 질 점막과 자궁에 염증이 생기고 점막이 벗겨져 궤양성출혈이 생길 수 있어 반드시 조기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자궁탈출증의 치료에는 비수술 치료와 수술 치료가 있는데 비수술 치료로는 케겔운동과 같은 물리요법이 있다.  케겔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면 질을 조여주는 느낌을 키워 자궁탈출증을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꾸준히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는 불편함 때문에 최근에는 수술요법 중 하나인 질축소수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리즈 산부인과 이형근 원장은 “많은 여성들이 자궁탈출증이 발병하면 자궁적출을 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데,  꼭 자궁적출을 해야 하는 상황이 아니거나 환자가 폐경 전의 젊은 여성이라면 질성형수술을 통해 자궁을 유지하면서 자궁탈출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형근 원장은 “골반장기탈출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복부비만을 막고 적정체중을 유지해야 한다”며 “평상시 항문조이기 운동인 케겔 운동을 습관화하면 골반 근육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좎럩伊숋옙�대き占쎄퀣占쏙옙�곗굻占쎌닂�숋옙關援�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占쎌쥙�ο옙�먯삕占쎌슜�삣뜝�숈삕占쎌쥙猷욑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