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춥고 건조한 날씨
감기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건조한 날씨를 좋아해서 영상 5도에서 활동성이 최고조에 달한다. 또한, 차갑고 건조한 공기는 목이나 코의 점막을 자극하고 인체의 면역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목 안의 섬모 운동까지 방해한다. 목젖 뒷부분에 자리한 섬모는 세균이나 먼지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바깥으로 쓸어내는 일종의 빗자루 역할을 하는데, 춥고 건조한 날씨에는 섬모들이 위축돼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2. 면역력 저하
면역력이 약하고 감기에 내성이 없는 사람일수록 바이러스 침입이 용이하다. 대표적으로 류머티즘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환자는 치료를 할 때 면역력을 감소시키는 치료를 한다. 그런데 이런 치료를 받으면 감기에 걸리는 횟수는 평소보다 두배 이상 증가한다. 또 감기에 걸리면 2차 감염 등의 합병증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3. 과도한 운동
어릴 때는 감기에 잘 걸리지만, 나이가 들면서 어느 정도 내성이 생겨 감기에 걸리는 횟수가 점차 줄어드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예외인 사람들이 있다. 바로 운동선수들이다. 조성연 하늘스포츠의학클리닉 원장은 "운동선수들은 일반인에 비해 약 3배 정도 높은 감기 유병률을 나타내고 있다"며 "여러 가지 스트레스와 운동 중 발생하는 부상, 젖산 등의 피로 물질 등은 모두 면역기능의 저하를 유발하기 때문에 상기도염 같은 감기를 유발한다"고 말했다. 적절한 스트레스와 운동은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되지만, 최대 능력의 80% 이상의 강도로 운동을 할 경우에는 오히려 면역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