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핑족, 접촉성피부염 · 벌레물림 · 상처 주의
▶ 벌레에 물렸을 때
여름휴가 중에는 야외에서 피부가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모기, 벌, 개미 등 온갖 벌레들에게 물리기 쉽기 때문에 곤충에 물렸을 때 바르는 구급약품을 상비하는 것이 좋다. 곤충에 물리면 피부가 붉어지거나 가려움증이 생기고 구진이 생기기도 한다. 찬물이나 암모니아 등으로 씻어주면 가려움증이 조금 덜해진다.
벌에 쏘였을 때에는 절대 피부를 문지르거나 긁어서는 안 된다. 독성물질이 온몸에 퍼지기 쉽기 때문이다. 벌에 쏘였을 때에는 벌침을 뺀 후 얼음이나 찬 물수건으로 냉찜질을 해주면 통증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열이 나고 심하게 부풀어 오르거나 호흡 곤란 등의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을 찾아 응급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곤충을 유인하는 밝은 색의 옷이나 헤어스프레이, 향수 등을 피한다. 또 먹다 남은 음식은 땅에 묻거나 꼭 덮어두어야 한다. 벌독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과민성 쇼크에 빠지기 쉬운데 이때는 전문가가 치료할 때까지 환자를 앉히고 호흡을 도와주는 것이 최선이다.
▶ 풀, 나무 등에 스쳤을 때 접촉성 피부염 주의!
최근 텐트와 코펠을 준비해 야외에서 야영을 하는 캠핑족이 많다. 이런 경우 접촉성 피부염을 주의해야 한다. 짧은 반바지와 가벼운 샌들 차림으로 숲속과 계곡을 돌아다니다 보면 풀이나 나무에 팔, 다리를 스치기 쉽다.
풀이나 나무에 피부가 스친 부위가 부풀어 오르고 붉어진다면 접촉성 피부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물질은 나무나 꽃가루 등 다양하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 염증이 쉽게 나는 피부,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들은 더욱 주의해야 한다. 풀밭에서 너무 오랫동안 앉아 있지 말고, 풀이나 나무, 해충으로부터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는 긴팔 옷과 긴바지를 입는 것이 좋다.
가렵다고 긁으면 상태가 악화되어 물집이 생기거나, 부스럼이 생기기도 한다. 가려움증이 심할 때는 얼음이나 찬물에 가려운 부위를 담그는 것이 방법이다. 심한 경우 열이 많이 나거나 두통·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증세가 심하다면 병원을 찾아 치료제를 처방받는 것이 좋다.
▶ 날카로운 돌이나 유리조각에 발을 다쳤을 때
돌이 많은 계곡물에서 놀다가 상처를 입으면 우선 흐르는 물로 상처를 깨끗이 씻은 뒤, 상처가 습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드레싱을 해야 한다. 그래야 흉 없이 빨리 낫는다. 피가 많이 나면 깨끗한 물로 상처를 씻어 흙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소독약을 바른 뒤 깨끗한 수건이나 가제로 감싼 채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상처가 1㎝ 이내인 경우는 소독한 후에 상처가 벌어지지 않도록 압박한 다음 반창고를 붙이면 된다. 상처에 소주나 된장, 담뱃가루 등을 바르는 행위는 금물이다.
▶ 벌레에 물렸을 때
여름휴가 중에는 야외에서 피부가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모기, 벌, 개미 등 온갖 벌레들에게 물리기 쉽기 때문에 곤충에 물렸을 때 바르는 구급약품을 상비하는 것이 좋다. 곤충에 물리면 피부가 붉어지거나 가려움증이 생기고 구진이 생기기도 한다. 찬물이나 암모니아 등으로 씻어주면 가려움증이 조금 덜해진다.
벌에 쏘였을 때에는 절대 피부를 문지르거나 긁어서는 안 된다. 독성물질이 온몸에 퍼지기 쉽기 때문이다. 벌에 쏘였을 때에는 벌침을 뺀 후 얼음이나 찬 물수건으로 냉찜질을 해주면 통증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열이 나고 심하게 부풀어 오르거나 호흡 곤란 등의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을 찾아 응급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곤충을 유인하는 밝은 색의 옷이나 헤어스프레이, 향수 등을 피한다. 또 먹다 남은 음식은 땅에 묻거나 꼭 덮어두어야 한다. 벌독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과민성 쇼크에 빠지기 쉬운데 이때는 전문가가 치료할 때까지 환자를 앉히고 호흡을 도와주는 것이 최선이다.
▶ 풀, 나무 등에 스쳤을 때 접촉성 피부염 주의!
최근 텐트와 코펠을 준비해 야외에서 야영을 하는 캠핑족이 많다. 이런 경우 접촉성 피부염을 주의해야 한다. 짧은 반바지와 가벼운 샌들 차림으로 숲속과 계곡을 돌아다니다 보면 풀이나 나무에 팔, 다리를 스치기 쉽다.
풀이나 나무에 피부가 스친 부위가 부풀어 오르고 붉어진다면 접촉성 피부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물질은 나무나 꽃가루 등 다양하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 염증이 쉽게 나는 피부,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들은 더욱 주의해야 한다. 풀밭에서 너무 오랫동안 앉아 있지 말고, 풀이나 나무, 해충으로부터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는 긴팔 옷과 긴바지를 입는 것이 좋다.
가렵다고 긁으면 상태가 악화되어 물집이 생기거나, 부스럼이 생기기도 한다. 가려움증이 심할 때는 얼음이나 찬물에 가려운 부위를 담그는 것이 방법이다. 심한 경우 열이 많이 나거나 두통·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증세가 심하다면 병원을 찾아 치료제를 처방받는 것이 좋다.
▶ 날카로운 돌이나 유리조각에 발을 다쳤을 때
돌이 많은 계곡물에서 놀다가 상처를 입으면 우선 흐르는 물로 상처를 깨끗이 씻은 뒤, 상처가 습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드레싱을 해야 한다. 그래야 흉 없이 빨리 낫는다. 피가 많이 나면 깨끗한 물로 상처를 씻어 흙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소독약을 바른 뒤 깨끗한 수건이나 가제로 감싼 채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상처가 1㎝ 이내인 경우는 소독한 후에 상처가 벌어지지 않도록 압박한 다음 반창고를 붙이면 된다. 상처에 소주나 된장, 담뱃가루 등을 바르는 행위는 금물이다.
1
· 2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