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끄럼틀 타다 쓰러진 아이”… 뇌졸중으로 두개골 3분의 1제거, 7살 아이에게 무슨 일!?

입력 2025.02.25 16:43

[해외토픽]

뇌졸중으로 인해 입원 중인 찰리의 모습
찰리 수 솔즈베리(7)가 아버지와 공원에서 놀던 중 갑작스러운 뇌졸중으로 쓰러졌다./사진=더 선
영국 7살 소녀가 아버지와 공원에서 놀던 중 갑작스러운 뇌졸중으로 쓰러진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24일(현지 시각) 영국 더 선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9일 찰리 수 솔즈베리(7)의 아버지 대니 솔즈베리(43)는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오는 딸의 얼굴에서 평소의 생기 있는 표정이 사라진 것을 알아차렸다. 찰리는 미끄럼틀에서 일어서려 했으나 왼쪽 얼굴이 축 처지며 그대로 쓰러졌고, 대니는 곧바로 응급차를 호출했다. 종합병원에서 의료진은 찰리의 뇌에 있는 혈전(혈관 안에서 피가 응고돼 생긴 덩어리)을 제거해야 한다는 진단을 내렸지만, 병상이 부족해 다른 병원으로 이송했다. 옮겨진 병원에서 찰리는 12차례 혈전 제거 수술을 받았지만, 모두 실패했다. 결국 다음 날 새벽, 갑작스러운 뇌부종(뇌 조직에 비정상적으로 체액이 축적돼 뇌가 부풀어 오르는 상태)이 발생해 의료진은 찰리의 두개골 3분의 1을 제거하는 대수술을 진행했다. 이후 찰리는 6일간의 중환자실 치료 끝에 의식을 되찾았지만, 현재 왼쪽 신체 기능을 전혀 사용할 수 없는 상태다. 찰리는 재활 치료에 전념하고 있으며, 가족들은 찰리가 다시 건강을 되찾길 간절히 바란다고 전했다.

찰리가 겪은 뇌졸중은 뇌로 가는 혈액 공급이 갑작스럽게 중단되거나 감소하면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허혈성 뇌졸중과 혈관이 터져 발생하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나뉜다. 뇌 손상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신체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치료 시기가 늦어지면 신체 마비, 언어 장애, 인지 저하 등 심각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어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뇌졸중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두통과 어지러움 ▲말이 어눌해지거나 이해력이 떨어지는 언어 장애 ▲한쪽 팔이나 다리에 힘이 빠지는 신체 마비 등이 있다. 특히 찰리처럼 얼굴 한쪽이 처지는 증상은 뇌졸중의 주요 지표 중 하나로, 웃을 때 입꼬리가 한쪽으로만 올라가거나 눈꺼풀이 처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뇌의 특정 부위가 손상되면서 근육을 조절하는 신경 기능이 약해져 나타나는 현상이다. 증상은 몇 분에서 몇 시간 내에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조기에 발견해 신속히 치료해야 회복 가능성이 커진다.

뇌졸중의 주요 원인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 질환 등으로, 이런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혈관 건강이 악화해 발생 위험이 커진다. 또한 ▲흡연 ▲과음 ▲비만 ▲운동 부족과 같은 생활 습관도 혈관을 손상해 뇌졸중을 유발할 수 있다. 나이가 들수록 발병률이 증가하지만, 최근에는 불규칙한 생활 습관과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등으로 젊은 층에서도 발생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어린이에게도 드물게 발생할 수 있다. 소아 뇌졸중은 성인보다 발생률이 훨씬 낮지만, ▲선천적 심장 질환 ▲혈액 질환 ▲자가면역질환 ▲감염 ▲외상 ▲유전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찰리처럼 혈전이 생겼거나 혈관 기형이 있어 뇌졸중이 발생하기도 한다.

뇌졸중의 치료는 발생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허혈성 뇌졸중은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제거해 뇌 혈류를 회복시키는 치료가 시행된다. 출혈성 뇌졸중은 출혈 부위를 줄이거나 혈관을 복구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평소 꾸준한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고, 금연과 절주를 실천하는 것이 필수다. 특히 고혈압이나 당뇨와 같은 기저 질환이 있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관리해 뇌졸중 발생 위험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외에도 가족력이 있는 경우라면 더욱 주의해야 하며,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혈압과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를 관리하는 것을 권장한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