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12세의 비교적 어린 소녀가 중증 유방비대증을 앓았다가 수술 치료를 받아 성공적으로 완치한 사례가 공개됐다.
모로코 라바트에 위치한 모하메드 V 대학교(University Mohammed V Rabat) 모하메드 5세 군사교육병원 산부인과 의료진은 특별한 병력이 없는 12세 소녀 A양이 생리 첫 시작과 동시에 10개월간 유두 분비물 없이 양쪽 유방이 10개월간 점진적으로 과도하게 커지는 증상으로 병원을 찾았다고 했다. 의료진은 A양에게 유방비대증을 진단하고 유방축소술을 진행했다. 유방을 일부 잘라내는 것인데, 결과적으로 A양 총 몸무게(50kg)의 16%에 달하는 8kg이 줄었다. 의료진은 수술 후에도 항에스트로겐 제제인 타목시펜을 처방했다. 이후 24개월의 추적 기간 동안 재발 없이 증상이 성공적으로 사라진 게 확인됐다.
유방비대증은 보통 유방 부피가 1500cc 이상일 때 진단한다. 크게 ▲내분비성 ▲처녀성 ▲비만성, 세 가지로 나뉜다. 내분비성은 유방 성숙에 관여하는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게 원인이다. 처녀성은 유전적 영향에 의해 발생하며 10대 여성에게 주로 나타난다. 비만성은 살이 찌며 생기는 유방비대증이다. A양의 경우 처녀성 유방비대증이었다.
유방비대증의 주요 증상은 몇 주에서 몇 달에 걸쳐 한쪽 또는 양쪽 유방 크기가 빠르게 커지는 것이다. 청소년 유방비대증의 경우 양쪽 유방이 모두 커지는 게 63%로 더 흔하다. 유방이 너무 커지면 몸을 움직이기 불편하고 유방통이 생길 수 있으며 어깨·허리·목 통증, 가슴 밑 피부 습진,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유방 세포 변형으로 인한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보고도 있다.
유방비대증은 유방을 축소하는 수술로 치료할 수 있다. 대표적 유방축소술에는 ▲하방 줄기법 ▲수직 흉터법 ▲유륜 주위 절제법 ▲유리 유두-유륜 이식법 등이 있다. 하방 줄기법은 많은 양의 유방을 절제해야할 때 쓰인다. 유두의 감각을 보존하면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줄일 수 있지만, 흉터가 크게 남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수직 흉터법은 절제하는 유방의 양과 처짐이 아주 많지 않은 경우 고려한다. 하방 줄기법보다 줄일 수 있는 양은 적지만, 수술 후 흉터가 적고 처짐 등의 고정 효과가 장점이다. 유륜 주위 절제법은 흉터가 작고, 자연스러운 모양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절제할 수 있는 양이 적고, 유륜의 모양이 불균형해질 수 있다. 드물지만 한쪽 가슴만 유방비대증일 경우 유리 유두-유륜 이식법이 이용된다. 이 경우 유두-유륜 복합체를 떼고 유방을 절제한 후 다시 붙인다. 유두의 감각을 잃고 수유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밖에도 위 유방 축소술과 함께 지방 흡인술을 같이 실시하여 효과를 높이기도 한다.
의료진은 "청소년 유방비대증을 수술로 교정하면 삶의 질을 상당히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사례는 '국제외과저널사례보고' 최근호에 실렸다.
모로코 라바트에 위치한 모하메드 V 대학교(University Mohammed V Rabat) 모하메드 5세 군사교육병원 산부인과 의료진은 특별한 병력이 없는 12세 소녀 A양이 생리 첫 시작과 동시에 10개월간 유두 분비물 없이 양쪽 유방이 10개월간 점진적으로 과도하게 커지는 증상으로 병원을 찾았다고 했다. 의료진은 A양에게 유방비대증을 진단하고 유방축소술을 진행했다. 유방을 일부 잘라내는 것인데, 결과적으로 A양 총 몸무게(50kg)의 16%에 달하는 8kg이 줄었다. 의료진은 수술 후에도 항에스트로겐 제제인 타목시펜을 처방했다. 이후 24개월의 추적 기간 동안 재발 없이 증상이 성공적으로 사라진 게 확인됐다.
유방비대증은 보통 유방 부피가 1500cc 이상일 때 진단한다. 크게 ▲내분비성 ▲처녀성 ▲비만성, 세 가지로 나뉜다. 내분비성은 유방 성숙에 관여하는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게 원인이다. 처녀성은 유전적 영향에 의해 발생하며 10대 여성에게 주로 나타난다. 비만성은 살이 찌며 생기는 유방비대증이다. A양의 경우 처녀성 유방비대증이었다.
유방비대증의 주요 증상은 몇 주에서 몇 달에 걸쳐 한쪽 또는 양쪽 유방 크기가 빠르게 커지는 것이다. 청소년 유방비대증의 경우 양쪽 유방이 모두 커지는 게 63%로 더 흔하다. 유방이 너무 커지면 몸을 움직이기 불편하고 유방통이 생길 수 있으며 어깨·허리·목 통증, 가슴 밑 피부 습진,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유방 세포 변형으로 인한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보고도 있다.
유방비대증은 유방을 축소하는 수술로 치료할 수 있다. 대표적 유방축소술에는 ▲하방 줄기법 ▲수직 흉터법 ▲유륜 주위 절제법 ▲유리 유두-유륜 이식법 등이 있다. 하방 줄기법은 많은 양의 유방을 절제해야할 때 쓰인다. 유두의 감각을 보존하면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줄일 수 있지만, 흉터가 크게 남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수직 흉터법은 절제하는 유방의 양과 처짐이 아주 많지 않은 경우 고려한다. 하방 줄기법보다 줄일 수 있는 양은 적지만, 수술 후 흉터가 적고 처짐 등의 고정 효과가 장점이다. 유륜 주위 절제법은 흉터가 작고, 자연스러운 모양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절제할 수 있는 양이 적고, 유륜의 모양이 불균형해질 수 있다. 드물지만 한쪽 가슴만 유방비대증일 경우 유리 유두-유륜 이식법이 이용된다. 이 경우 유두-유륜 복합체를 떼고 유방을 절제한 후 다시 붙인다. 유두의 감각을 잃고 수유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밖에도 위 유방 축소술과 함께 지방 흡인술을 같이 실시하여 효과를 높이기도 한다.
의료진은 "청소년 유방비대증을 수술로 교정하면 삶의 질을 상당히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사례는 '국제외과저널사례보고' 최근호에 실렸다.
占쎌꼶利뷸�⑨옙 占쎈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