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비대증은 50대 이상 남성 절반이 경험하는 대표적인 남성 질환이다. 전립선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면서 요도가 좁아져 소변이 잘 나오지 않거나 방광 기능이 약해져 소변이 자주 마렵고 참기 어려워진다. 밤에 자다 깨서 화장실에 가는 일이 잦아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배뇨 장애 증상으로 일상 생활이 어렵다면 방치하지 말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전립선비대증을 방치할 경우 갑자기 소변이 전혀 나오지 않는 급성 요폐가 발생할 수 있고 요로감염, 방광 내 결석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다. 전립선비대증은 어떻게 진단하는지, 또 증상에 따라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이대목동병원 비뇨의학과 신태영 교수에게 들어봤다.
[공감사연] 빈뇨∙야간뇨 때문에 일상 생활이 어려워요. 전립선비대증 어떻게 치료하나요?
얼마 전부터 소변을 참기 어렵고 소변을 봐도 시원하지 않아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낀다는 50대 초반 남성이 사연을 보내왔다. 밤에도 화장실에 가고 싶어 자주 깨다 보니 숙면을 취하지 못해 피로가 누적된 상태라며 어떤 치료가 효과적일지에 대해 물어왔다. 아직은 50대라 수술은 부작용이 걱정된다는 사연에 대해 신태영 교수가 답변했다.
[공감처방] 전립선비대증은 정확한 진단이 중요, 개인에 맞는 치료 선택해야
전립선비대증의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신언서판(身言書判)이라는 옛말이 있다. 겉모습과 말솜씨, 글씨, 판단력을 일컫는 말이다. 전립선비대증을 진단할 때도 이 말을 적용할 수 있다. 가장 먼저 전립선의 모양과 크기를 정확히 살펴보고 환자의 불편한 증상을 세심하게 들어봐야 한다. 또한 전립선 증상 점수표 작성, 요속 검사,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등을 시행해 객관적인 진단을 내리고 그에 따른 맞춤형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
치료 계획을 세울 때는 환자의 생활습관 및 심리적∙환경적 요인을 꼼꼼히 확인한다. 약물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시행 하기 전 불편한 증상의 근원을 찾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생활습관 교정으로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약물치료를 시작한다. 전립선비대증의 약물 치료에는 ▲요도 괄약근을 넓혀주는 약 ▲방광의 민감도를 낮춰주는 약 ▲전립선 성장 호르몬을 차단하는 약 등이 있다.
약물치료로 큰 호전이 없다면 시술 및 수술이 필요하다. 시술과 수술의 종류는 다양하다. 시술에는 특수 결찰사로 비대해진 전립선을 묶어주는 전립선결찰술, 전립선 동맥을 색전물질로 막아 전립선 크기를 줄이는 전립선동맥색전술이 있다. 수술은 내시경을 통해 커진 전립선 조직을 절제하는 경요도전립선절제술이 있다. 오랫동안 시행되어온 수술이나 주변 조직 손상으로 인한 부작용의 우려가 있어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부작용의 위험을 줄인 수술 방법들이 도입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워터젯 로봇 수술(아쿠아블레이션)이다. 개인의 전립선 상태에 맞게 수술이 꼭 필요한 부위를 맞춤형으로 설계할 수 있고 높은 수압을 이용해 비대해진 전립선 조직을 절제한다. 전기나 레이저 등 열을 이용한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주변 조직 손상이 적어 회복이 빠르고 부작용의 위험이 적다.
전립선에 문제가 있다고 느껴진다면 빠르게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전립선비대증을 편안하게, 아프지 않게, 부작용 걱정 없이 관리하려면 편하게 상담할 수 있는 비뇨의학과 주치의를 만들어 두면 도움된다. 배뇨 장애, 성기능 문제 등 털어놓기 힘든 어려운 문제에 대해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근거와 치료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방법을 개인의 판단에 의해 선택하는 것은 좋지 않다.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자세한 내용을 헬스조선 유튜브 채널 공감닥터 코너에서 시청할 수 있다.
[공감사연] 빈뇨∙야간뇨 때문에 일상 생활이 어려워요. 전립선비대증 어떻게 치료하나요?
얼마 전부터 소변을 참기 어렵고 소변을 봐도 시원하지 않아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낀다는 50대 초반 남성이 사연을 보내왔다. 밤에도 화장실에 가고 싶어 자주 깨다 보니 숙면을 취하지 못해 피로가 누적된 상태라며 어떤 치료가 효과적일지에 대해 물어왔다. 아직은 50대라 수술은 부작용이 걱정된다는 사연에 대해 신태영 교수가 답변했다.
[공감처방] 전립선비대증은 정확한 진단이 중요, 개인에 맞는 치료 선택해야
전립선비대증의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신언서판(身言書判)이라는 옛말이 있다. 겉모습과 말솜씨, 글씨, 판단력을 일컫는 말이다. 전립선비대증을 진단할 때도 이 말을 적용할 수 있다. 가장 먼저 전립선의 모양과 크기를 정확히 살펴보고 환자의 불편한 증상을 세심하게 들어봐야 한다. 또한 전립선 증상 점수표 작성, 요속 검사,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등을 시행해 객관적인 진단을 내리고 그에 따른 맞춤형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
치료 계획을 세울 때는 환자의 생활습관 및 심리적∙환경적 요인을 꼼꼼히 확인한다. 약물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시행 하기 전 불편한 증상의 근원을 찾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생활습관 교정으로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약물치료를 시작한다. 전립선비대증의 약물 치료에는 ▲요도 괄약근을 넓혀주는 약 ▲방광의 민감도를 낮춰주는 약 ▲전립선 성장 호르몬을 차단하는 약 등이 있다.
약물치료로 큰 호전이 없다면 시술 및 수술이 필요하다. 시술과 수술의 종류는 다양하다. 시술에는 특수 결찰사로 비대해진 전립선을 묶어주는 전립선결찰술, 전립선 동맥을 색전물질로 막아 전립선 크기를 줄이는 전립선동맥색전술이 있다. 수술은 내시경을 통해 커진 전립선 조직을 절제하는 경요도전립선절제술이 있다. 오랫동안 시행되어온 수술이나 주변 조직 손상으로 인한 부작용의 우려가 있어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부작용의 위험을 줄인 수술 방법들이 도입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워터젯 로봇 수술(아쿠아블레이션)이다. 개인의 전립선 상태에 맞게 수술이 꼭 필요한 부위를 맞춤형으로 설계할 수 있고 높은 수압을 이용해 비대해진 전립선 조직을 절제한다. 전기나 레이저 등 열을 이용한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주변 조직 손상이 적어 회복이 빠르고 부작용의 위험이 적다.
전립선에 문제가 있다고 느껴진다면 빠르게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전립선비대증을 편안하게, 아프지 않게, 부작용 걱정 없이 관리하려면 편하게 상담할 수 있는 비뇨의학과 주치의를 만들어 두면 도움된다. 배뇨 장애, 성기능 문제 등 털어놓기 힘든 어려운 문제에 대해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근거와 치료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방법을 개인의 판단에 의해 선택하는 것은 좋지 않다.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자세한 내용을 헬스조선 유튜브 채널 공감닥터 코너에서 시청할 수 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