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임대주택에 곰팡이 방치… 호흡기 어떻게 망가지나

입력 2024.07.27 05:00
곰팡이가 생긴 벽
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소유한 매입임대주택 천장과 장판에 곰팡이가 가득한데도 2년간 후속 조치가 미흡했다는 주장이 26일 CBS노컷뉴스를 통해 보도됐다.

문제의 건물 반지하에 거주하는 이모(56)씨는 2022년 11월 처음으로 누수를 발견했다. LH에 연락하자 공사팀이 바로 방문해 누수를 잡았고, (도배·장판 등을) 전체적으로 손봐야겠다고 말했으나 당시엔 공사를 완료하지 못했다. 이씨의 허리 통증이 심해 실내 짐을 옮길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후 LH 측에 다시 공사를 문의했으나 제대로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 이씨의 주장이다. 이씨는 “작년 11월 공사해 주시는 분들이 오셨는데 창문 쪽만 (스티로폼 처리를)해줬고, 도배는 다른 분이 온다고 연락을 주겠다더니 연락이 없는 상황”이라며 “(최초로 하자를 발견한 후 LH와) 지금껏 20차례 정도 통화”했다고 말했다.

LH 측은 “결과적으로 공사의 책임이 크지만, 고의적으로 방치한 것은 절대 아니다”라며 “세입자의 입원과 잦은 출장으로 일정이 맞지 않아 수리가 지연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LH는 현재 해당 가구에 방문해 보수공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거주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음에도 곰팡이를 내버려두는 사건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8월에는 육군 합숙훈련에 참여한 일부 대위들이 배정받은 숙소가 천장, 바닥, 침대 옆 벽지까지 곰팡이로 뒤덮인 게 알려져 논란을 일으켰다. 당시 육군 측은 “순차적으로 국방부 등과 리모델링 해나가겠다”고 했다.

건물에 생긴 곰팡이는 인체에 유해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곰팡이균이 만드는 포자(미세한 생식세포)는 공기를 통해 쉽게 확산한다. 이것이 호흡기와 피부를 통해 침투할 수 있다.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코 막힘, 눈 가려움, 호흡곤란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호흡기 질환이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 ▲천식이 있는 사람 ▲유아와 어린이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곰팡이에 더욱 민감해 기침, 콧물, 두통, 피로 등을 겪기 쉽다.

없던 천식이 생기거나 기존 천식 증상이 악화할 위험도 있다. 2020년 고대안암병원 천식환경보건센터 연구팀이 소아 천식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정 내 곰팡이 노출은 기도과민성(외부 자극에 기도가 과도하게 반응해 쉽게 수축하는 현상)을 높여 천식 발생 위험과 증상을 키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곰팡이는 피부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자극성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피부염이 생길 가능성도 존재한다.

곰팡이는 발견한 즉시 제거해야 한다. 벽지에 생긴 곰팡이는 알코올과 물을 1대4 비율로 섞어서 뿌리고, 10분 뒤에 마른걸레나 뻣뻣한 솔로 닦아내면 된다. 이후에 드라이기로 물기를 완전히 말려준다. 물티슈나 젖은 수건으로 곰팡이를 닦으면 포자가 주변으로 퍼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부엌 싱크대나 욕실에 생긴 곰팡이는 베이킹파우더와 식초를 물에 섞어 닦거나 치약을 뿌려 닦으면 된다. 곰팡이가 벽지 안쪽까지 퍼졌다면 벽지를 전부 뜯어내고 곰팡이를 없애야 한다.

실내 온도와 습도만 잘 차단해도 곰팡이 번식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실내 온도는 섭씨 20~22도, 습도는 40~60%를 유지한다. 습한 날엔 에어컨이나 제습기로 실내 습도를 낮춰준다. 천장이나 벽에 물방울이 맺혔다면 곧바로 닦아내고, 선풍기나 드라이기로 완전히 말린다. 화장실, 주방 등 물기가 많은 공간은 특히 건조하게 유지되도록 신경 써야 한다. 습기 제거에 도움이 되는 신문지, 제습제, 숯 등을 비치하면 도움이 된다.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