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새 이갈이하는데, 치아 멀쩡할까?

입력 2023.02.13 06:00
자는 아이
소아청소년의 이갈이는 흔하게 발생하지만, 대부분 일시적인 현상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이갈이는 중년 남성의 잠버릇처럼 여겨지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자면서 이를 간다. 한참 치아와 턱이 자랄 시기의 아이가 이갈이를 하면 보호자는 걱정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아이의 이갈이는 생각보다 흔하고, 일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대한치과의사협회 통계를 보면, 아동의 약 14~17%, 청소년 12%가 이갈이를 한다. 성인 8%, 노인 3%보다 훨씬 많은 숫자다. 이갈이 경험으로만 따지면, 숫자는 더욱 많이 늘어난다. 국내외 최신 연구에선 소아청소년의 최대 70%가 이갈이를 경험한다고 보고된다.

경희대치과병원 구강내과 이연희 교수는 "아이들의 이갈이는 성장과정에서 이가 나면서 간지럽거나 잇몸이 불편한 경우, 교합을 맞춰가는 과정에서 느끼는 불편함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 교수는 "어려서 힘이 넘치는 아이들은 남은 에너지를 소모하려고 자면서 이갈이를 하기도 하고, 긴장이나 압박을 느껴 이를 해소하려고 자연스럽게 이갈이를 하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이를 부딪치고 가는 행위는 세로토닌 등 뇌 활성물질 분비를 돕고, 근육 등을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다. 딱딱하거나 바삭한 음식을 먹으면 기분이 전환되는 원리도 이와 같다.

이러한 이유로 소아청소년기 이갈이는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저절로 없어진다.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는 문제다. 그러나 아이가 치아나 턱 통증을 얘기한다면 치료가 필요하다. 이연희 교수는 "아이가 통증을 호소하는 건 아이의 턱관절이나 치아가 견딜 수 없는 상황이라는 걸 의미하므로, 치과진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좎럩瑗띰쭩酉몌옙�⑥삕 �좎럥�삼옙占� �좎떬�낅츩占쎈냲�쇿뜝��占쏙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