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걀을 자주 먹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날씬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페인 카스티야라만차대 연구팀은 달걀 섭취가 체지방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18~30세의 성인 355명을 모집한 뒤 일주일 달걀 섭취 빈도에 따라 ▲1회 미만 섭취 ▲1~4회 섭취 ▲최소 5회 섭취 그룹으로 나눴다. 그런 다음 연구팀은 이들의 BMI(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를 측정했다. 달걀 섭취 방식에 대해서는 따로 기준을 두지 않았다.
측정 결과 달걀을 많이 먹을수록 체질량지수는 낮았다. 5번 이상 먹는 그룹의 평균 체질량지수는 22.5, 1~4회 먹는 그룹은 23.5, 1회 미만 그룹은 23.5로 나타났다. BMI는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우리나라에선 20 미만이면 저체중, 20~24면 정상, 25~30이면 경도 비만, 30을 넘으면 비만으로 본다.
허리둘레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연구팀이 연령과 성별을 조정한 뒤 달걀을 가장 적게 섭취한 그룹의 허리둘레와 키의 비율을 측정했더니 0.5에 가까웠다. 달걀을 거의 매일 먹는 그룹은 0.45보다 낮았다. 건강한 허리둘레와 키의 비율은 0.4~0.49다. 0.6 이상이면 고위험 군으로 분류된다.
연구의 저자 미리암 가리도(Miriam Garrido) 박사는 “달걀 섭취의 이점은 전적으로 단백질에 달려있다”며 “우리 연구 결과는 건강을 위해 일주일에 5번 이상 달걀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돼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한편, 달걀은 단백질 공급원 중에서도 가장 좋은 편에 속한다. 대다수 육류는 지방 함량이 높아서 많이 먹으면 포화지방, 콜레스테롤에 의해 혈관 건강이 나빠질 수 있다. 가공·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 물질들이 발암 위험을 높이기도 한다. 그러나 달걀은 일명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리는 고밀도지단백(HDL)의 비율이 높아 오히려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임상 영양(Clinical Nutrition)’에 최근 게재됐다.
스페인 카스티야라만차대 연구팀은 달걀 섭취가 체지방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18~30세의 성인 355명을 모집한 뒤 일주일 달걀 섭취 빈도에 따라 ▲1회 미만 섭취 ▲1~4회 섭취 ▲최소 5회 섭취 그룹으로 나눴다. 그런 다음 연구팀은 이들의 BMI(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를 측정했다. 달걀 섭취 방식에 대해서는 따로 기준을 두지 않았다.
측정 결과 달걀을 많이 먹을수록 체질량지수는 낮았다. 5번 이상 먹는 그룹의 평균 체질량지수는 22.5, 1~4회 먹는 그룹은 23.5, 1회 미만 그룹은 23.5로 나타났다. BMI는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우리나라에선 20 미만이면 저체중, 20~24면 정상, 25~30이면 경도 비만, 30을 넘으면 비만으로 본다.
허리둘레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연구팀이 연령과 성별을 조정한 뒤 달걀을 가장 적게 섭취한 그룹의 허리둘레와 키의 비율을 측정했더니 0.5에 가까웠다. 달걀을 거의 매일 먹는 그룹은 0.45보다 낮았다. 건강한 허리둘레와 키의 비율은 0.4~0.49다. 0.6 이상이면 고위험 군으로 분류된다.
연구의 저자 미리암 가리도(Miriam Garrido) 박사는 “달걀 섭취의 이점은 전적으로 단백질에 달려있다”며 “우리 연구 결과는 건강을 위해 일주일에 5번 이상 달걀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돼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한편, 달걀은 단백질 공급원 중에서도 가장 좋은 편에 속한다. 대다수 육류는 지방 함량이 높아서 많이 먹으면 포화지방, 콜레스테롤에 의해 혈관 건강이 나빠질 수 있다. 가공·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 물질들이 발암 위험을 높이기도 한다. 그러나 달걀은 일명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리는 고밀도지단백(HDL)의 비율이 높아 오히려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임상 영양(Clinical Nutrition)’에 최근 게재됐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