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나측은 자사의 코로나19 백신이 화이자 백신보다 심근염 발생 위험이 높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젊은 남성의 심근염 발생 위험이 다른 백신보다 높다고 회사 측이 인정했다. 그러나 돌파감염 사례는 더 적다며 모더나 백신의 효용이 부작용 위험을 능가한다고 주장했다.
폴 버튼 모더나 최고의학책임자(CMO)는 11일(현지시간) 기자들과의 통화에서 30세 미만 남성 사이에서 희귀 부작용인 심근염 발병 건수가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보다 모더나 백신이 높다고 밝혔다고 CNBC방송이 보도했다.
모더나와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은 둘 다 mRNA(메신저 리보핵산) 계열이다.
버튼 CMO가 인용한 프랑스의 통계를 보면 12∼29세 남성 중 모더나 백신 접종자 10만 명당 13.3건의 심근염이 발생했다.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은 10만 명당 2.7건으로 집계됐다.
유럽에서는 지난 7월부터 모더나 백신의 청소년 접종을 승인했으나, 심근염 위험을 이유로 핀란드와 스웨덴 등 북유럽 국가들이 30세 이하 남성에 대한 접종을 중단한 상태다.
그러나 버튼 CMO는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통계를 인용해 모더나 백신 접종자의 코로나19 돌파감염 비율이 화이자-바이오엔테크나 존슨앤드존슨의 자회사 얀센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모더나 백신의 심근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과 관련해서는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호르몬이 원인일 가능성을 일각에서 제기한다. 또 모더나 백신이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보다 mRNA 양이 많다는 점도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버튼 CMO는 최초 접종 때보다 용량을 절반으로 줄인 부스터샷 접종자 가운데 심근염이 발생한 사례는 아직 한 건도 없었다며, 회사 측이 앞으로도 계속 관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저작권자 ⓒ 헬스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기사
- '코로나 마스크' 장기화가 유독 두려운 '이 환자'들
- 가슴 콕콕 아픈데… 혹시 심근염, 심낭염 아닐까?
-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9명… 모두 화이자 접종
- 셀트리온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 유럽서 ‘승인 권고’ 의견
- 코로나 안전성 위원회 "인과성 판단 결과 바뀔 수 있어"
- 코로나19 검사 수요 급증… '유료화' 전환 필요?
- 곧 들어올 ‘코로나 치료제’… 머크 VS 화이자 효과 차이는?
- 진원생명과학, 유럽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2상 IND 승인
- 내주부터 수도권 10명까지 모임… 식당·카페 시간 제한없어
- 코로나 경구용 치료제 내년 1분기 국내 도입… 머크 20만명·화이자 7만명 분
- 50대·기저질환자·얀센 접종자, 11월부터 부스터 샷 접종 시작
- 4000만 명 분석…백신 미접종자, 코로나 걸릴 위험 2.7배, 중증 위험 22배
-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 후 항체 98~100% 생성"
- 곧 '위드 코로나'... '항생제 내성'이 두려운 이유
- 윤곽 드러낸 '위드코로나'… 11월부터 달라지는 점은?
- 식약처 "코로나19 항체검사시약, 면역력 확인 불가"
- "코로나 스트레스, '귀여운 사진' 보면 해소된다"
- 국민 10명 중 9명 "코로나19 종식 불가능, 독감처럼 관리해야"
- 코로나19 이색 후유증? “안 들리고, 어지럽다”
- 백신 80% 접종했는데 '위중증' 사상 최대… '미스터리'?
- 유럽은 재봉쇄 하는데, 일본만 ‘확진자 급감’… 왜?
-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시력저하' 부작용 신고 623건
- 코로나 감염되면?… 재택치료 '이렇게' 한다
- '이때' 일하는 사람, 코로나 더 잘 걸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