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 385건으로 시력저하 부작용 가장 많아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시력저하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시력저하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선우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강서갑)이 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0월 31일 0시 기준 전체 이상반응 의심 신고 현황 중 시력저하 관련으로 신고한 사례는 623건이다.
백신 종류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 385건, 화이자 173건, 모더나 38건, 얀센 27건 순이었다.
다만 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코로나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의료기관에서 신고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했으며, 백신과 이상반응 간 인과성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21일에는 5살 딸을 가진 가정주부가 코로나 백신을 접종 받은 후 시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호소하는 청원 글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려 화제가 됐었다.
청원인은 "아이가 타고 내리는 유치원 버스를 구분도 못하고 더 이상 운전도 할 수가 없다"며 "지금껏 시력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는데 지금은 딸아이가 불러도 울먹이는지 웃고 있는지 표정을 알 수가 없는 바보 엄마가 됐다"고 말했다.
강선우 의원은 "시력저하는 백신 이상반응 중에서도 상당히 심각한 사례에 속한다"며 "질병관리청은 백신 접종과 시력저하 사이 인과관계를 국민에게 상세히 설명하고 피해자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저작권자 ⓒ 헬스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기사
- '코로나 마스크' 장기화가 유독 두려운 '이 환자'들
- 가슴 콕콕 아픈데… 혹시 심근염, 심낭염 아닐까?
-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9명… 모두 화이자 접종
- 모더나 백신, 심근염 위험 화이자의 5배… "돌파감염은 적다"
- 셀트리온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 유럽서 ‘승인 권고’ 의견
- 코로나 안전성 위원회 "인과성 판단 결과 바뀔 수 있어"
- 코로나19 검사 수요 급증… '유료화' 전환 필요?
- 곧 들어올 ‘코로나 치료제’… 머크 VS 화이자 효과 차이는?
- 진원생명과학, 유럽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2상 IND 승인
- 내주부터 수도권 10명까지 모임… 식당·카페 시간 제한없어
- 코로나 경구용 치료제 내년 1분기 국내 도입… 머크 20만명·화이자 7만명 분
- 50대·기저질환자·얀센 접종자, 11월부터 부스터 샷 접종 시작
- 4000만 명 분석…백신 미접종자, 코로나 걸릴 위험 2.7배, 중증 위험 22배
-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 후 항체 98~100% 생성"
- 곧 '위드 코로나'... '항생제 내성'이 두려운 이유
- 윤곽 드러낸 '위드코로나'… 11월부터 달라지는 점은?
- 식약처 "코로나19 항체검사시약, 면역력 확인 불가"
- "코로나 스트레스, '귀여운 사진' 보면 해소된다"
- 국민 10명 중 9명 "코로나19 종식 불가능, 독감처럼 관리해야"
- 코로나19 이색 후유증? “안 들리고, 어지럽다”
- 백신 80% 접종했는데 '위중증' 사상 최대… '미스터리'?
- 유럽은 재봉쇄 하는데, 일본만 ‘확진자 급감’… 왜?
- 코로나 감염되면?… 재택치료 '이렇게' 한다
- '이때' 일하는 사람, 코로나 더 잘 걸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