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염증은 신체의 이상이 있을 경우 발생하는 가장 흔한 면역 반응 중 하나로 우리 신체를 지키는 파수꾼 역할을 한다. 세균ᆞ바이러스와 같은 외부자극이나 체내 독소 증가와 같은 내부자극이 있을 때 체내 면역세포를 통해 조직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감염체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 이렇듯 염증은 우리 몸을 지키기 위한 자연스러운 면역 반응이지만 지나치게 염증 수치가 높을 경우 건강을 해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전 세계 소염 치료제 시장 규모가 2020년 기준 98억2600만 달러에 달할 정도로 많은 환자가 염증성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다.
염증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누어진다. 급성염증은 상처가 빨갛게 부어오르고, 열과 통증이 느껴지는 증상이 동반되는 염증으로 환자 스스로 염증 발생을 알아차릴 수 있고 염증 원인이 해결되면 자연스레 사라진다. 급성염증의 대표적인 예로는 발목인대 손상이나 환절기 성행하는 인후염 등이 있다.
반면 만성염증은 다양한 질병의 주요 병변임에도 불구하고 드러나는 특이 증상이 없어,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기도 한다. 급성염증이 지속적으로 반복되거나, 염증 원인이 장기간 해결되지 않는 경우 만성염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에는 급성염증 과정없이 바로 만성염증으로 발현되기도 한다. 만성염증은 류마티스 관절염부터 우울증, 알츠하이머성 치매 등, 다양한 중증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염증성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적혈구침강속도(이하 ESR) 검사, C-반응성 단백(이하 CRP) 검사, 프로칼시토닌(이하 PCT) 검사를 많이 이용해왔다.
최근 ‘혈청 아밀로이드 A(Serum Amyloid A, 이하 SAA) 검사’가 주목받고 있다. SAA는 염증이 발생할 경우 활성화된 단핵구 및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염증성 시토카인에 의해 간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이다. SAA 검사는 혈중 SAA 농도를 파악해 염증성 질환을 진단하며, 세균은 물론 바이러스에 의한 염증도 진단이 가능해 활용도가 높다.
GC녹십자의료재단 진단검사의학과 송성욱 전문의는 “SAA 검사는 대표적인 염증성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과 신생아 패혈증 진단에 유용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