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생긴 점… '튀김 흉터' 들어봤니?

입력 2021.09.18 07:00

기름 튀어 흉터까지… 추석 음식 만들 때 장갑, 긴팔 옷, 토시 착용 바람직

튀김
튀김이나 전을 만들 때 생기는 손과 팔의 기름 화상은 심각한 부상까지는 아니라도 흉터로 남을 가능성이 있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손과 팔에 거뭇거뭇한 흉터. 주부들한테 특히 많다. 이 흉터의 주범은 ‘튀김’. 튀김을 만들다 한번쯤 기름이 튀어 놀란 적이 있을 것이다. 가볍게 낫기도 하지만, 심하면 거뭇거뭇하게 ‘튀김 흉터’를 만들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튀김을 만들거나 전을 부치는 사람이 많은데, 사전에 피부를 보호해야 한다.

◇기름 때문에 화상… 흉터로 남을 수도
한모(49)씨는 지난 명절에 집에서 튀김을 만들다 손등에 기름이 튀어 팥알만 한  흉터가 3개 생겼다. 지금은 흉터가 조금 흐려지긴 했으나 눈에 띄어 신경이 쓰인다. 이번 추석에도 전을 부쳐야 하는데 프라이팬 앞에 가기가 겁난다고 했다.

화상은 주로 화재, 뜨거운 물, 화학약품 등으로 생기지만, 요리할 때 뜨거운 기름도 한 원인이다. 중식당, 치킨집, 튀김집, 호떡집 등을 운영하는 사람들 중에 손등, 팔, 목, 얼굴 등에 기름 화상을 달고 산다는 경우가 적지 않다.

튀김이나 전을 만들 때 생기는 손과 팔의 기름 화상은 심각한 부상까지는 아니라도 흉터로 남을 가능성이 있다.

또 흉터가 생긴 부위가 검게 변하거나 잡티나 검버섯 등 색소 침착을 초래하거나 악화시킬 수도 있다. 튀김 기름이 눈에 들어가면 심각한 각막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뜨거운 기름 요리 시 긴팔, 토시 착용을
튀김이나 전 등의 뜨거운 기름을 이용해 요리할 때는 장갑과 토시, 긴팔 옷을 착용하고 어린이들이 가까이 오지 못하게 해야 한다.

연세스타피부과 강남점 김영구 원장은 “흉터 주변은 물론 눈에 보이는 흉터가 없어도 화상 상처 주변에 색소가 쉽게 침착된다”고 말했다.

화상 흉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화상을 입었을 때의 올바르고 신속한 대처가 중요하다. 김 원장은 “뜨거운 기름에 화상을 입었을 때는 찬물로 화상 부위의 열을 충분히 식히고 찬물에 적신 수건이나 거즈로 감싸면 도움이 된다”며 “그러나 화상 상처가 크면 의료기관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흉터와 색소 침착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된장, 소주, 오이 등을 화상 부위에 바르는 민간요법을 쓰면 오히려 2차 감염으로 이어져 상처가 깊어질 수 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좎럩伊숋옙�대き占쎄퀣占쏙옙�곗굻占쎌닂�숋옙關援�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占쎌쥙�ο옙�먯삕占쎌슜�삣뜝�숈삕占쎌쥙猷욑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