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뿡뿡' 방귀쟁이, 혹시 '이것' 많이 드세요?

입력 2021.09.16 18:35
방귀
채소를 많이 먹으면 장내 유익균이 활발해져 고기 중심 식사를 할 때보다 방귀를 더 많이 뀌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채소를 많이 먹으면 장내 유익균이 활발해져 고기 중심 식사를 할 때보다 방귀를 더 많이 뀌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페인 발데브론대 의대 연구팀은 18~38세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채소가 중심이 되는 지중해식단과 고기가 중심이 되는 고지방 식단이 방귀·대변의 양과 횟수에 어떤 변화를 유발하는지 분석했다. 지중해식단에는 과일, 채소, 콩, 생선 등으로 1끼 탄수화물 62%, 단백질 16%, 지방 19% 그리고 섬유질 54.2g이 제공됐다. 고지방 식단은 쇠고기, 햄 등 육류, 달걀, 유제품 등으로 구성돼 탄수화물 27%, 단백질 21%, 지방 51%와 섬유질 4.7g을 함유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2주 동안 한 그룹에는 지중해 식단을 한 그룹에는 고지방 식단을 제공했다. 2주간 휴지기를 가진 뒤 두 그룹은 다시 2주간 식단을 바꿔 섭취했다. 그동안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의 대변 샘플을 수집하고, 가스 방출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두 식단을 섭취하는 동안 배변의 횟수는 비슷했다. 하지만 양은 지중해식단을 먹었을 때 약 두 배 더 많았다. 고지방 식단을 먹었을 때 하루 평균 100g의 배변을 했지만, 지중해식단을 섭취하면 하루 평균 200g의 배변을 했다. 질감도 부드러워졌다. 식이섬유를 먹이로 삼는 유익한 장내 박테리아의 활동과 번식이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늘어난 대변에는 더 많은 장내 미생물, 물, 그리고 끝까지 소화되지 않은 식이섬유 등이 포함됐다.

방귀도 지중해식단을 먹을 때, 고지방 식단을 먹을 때보다 더 많이 뀌었다. 고지방 식단을 먹으면 하루 평균 11번, 지중해식단을 먹을 땐 18번 뀌는 것으로 기록됐다. 연구팀이 실험참가자의 직장에 가스 수집 장치를 달아 측정한 결과, 가스양도 지중해식단을 먹었을 때 50% 더 많았다. 방귀는 음식물과 함께 입을 통해 들어간 공기와 대장에서 미생물들이 생성한 가스가 섞여서 방출되는 가스다. 지중해식단에 포함된 식이섬유는 느리게 소화되며 방귀 양이 많아지게 한다. 하지만, 냄새는 고지방 식단을 먹었을 때 지독할 가능성이 더 크다. 방귀 냄새를 지독하게 하는 건 황화수소 가스인데, 이 성분은 단백질을 소화할 때 주로 생성된다.

연구에 참여한 클라우디아 바버 박사는 “방귀가 많이 나온다고 민망하게 여길 일이 아니다”라며 “채식으로 방귀가 많아졌다는 건 장내 박테리아 생태계가 더 건강한 쪽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식이섬유를 분해하는 장내 미생물은 짧은 사실 지방산(단쇄지방산)을 만들어내는 유익균으로, 대장암을 예방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혈당을 조절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Nutriants’에 게재됐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