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당뇨·고지혈증 동시 환자, 10년 새 ‘4배’ 껑충

입력 2018.04.18 17:18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전 국민 유병률 및 치료현황이 발표됐다. 각각의 질환을 앓는 환자가 전반적으로 늘어난 가운데, 세 가지 질환을 동시에 앓는 환자가 최근 10년 새 4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한고혈압학회·대한당뇨병학회·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는 18일 국내 3대 만성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의 유병 규모와 치료 현황을 요약, 공동 팩트 시트(fact sheet)를 공개했다. 3개 학회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의 유병 및 관리 실태를 분석한 결과다.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중 하나라도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사람은 2016년 약 1127만 명으로, 2006년 약 622만 명 대비 10년 새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세 질환 중 한 가지 질환을 치료받는 환자는 2016년 588만 명이었으며, 10년 전 432만 명보다 소폭 증가했다. 두 가지 질환을 앓는 환자는 같은 기간 156만 명에서 399만 명으로, 세 가진 질환을 모두 앓는 환자는 34만 명에서 141만 명으로 증가했다.

국내 3개 만성질환 유병인구/표=대한고혈압학회·대한당뇨병학회·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공동 제공​​

팩트 시트 제작에 참여한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김현창 교수는 “한국인의 3대 만성질환으로 꼽히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은 각종 중증 질환(심뇌혈관질환 및 치매)의 선행질환이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라며 “특히 많은 만성질환자들이 두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동시에 앓고 있어, 각 질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더불어 국가 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예방·관리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고혈압 환자 1100만 명 돌파…절반이 조절 안돼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016년 고혈압 유병률을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 적용하면 국내 고혈압 유병인구는 1100만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실제 고혈압으로 진단 받은 사람은 약 890만 명에 그친다. 꾸준히 치료받는 사람은 573만 명으로 전체 유병자의 64%로 더 낮다. 고혈압 조절률은 이보다도 낮은 44%에 불과하다.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대부분 약물 치료는 받지만 치료 지속율이 낮아서 많은 사람들이 혈압 조절에 실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국내 고혈압 현황/표=대한고혈압학회 제공​

대한고혈압학회 조명찬 이사장은 “고혈압이 뇌졸중, 심장마비 등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인식은 어느 정도 형성돼 있지만, 고혈압 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치료가 필수적이라는 것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낮다”며 “합병증 발생과 사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치료를 통한 혈압 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당뇨병 환자 10년 사이 두 배로 증가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국내 당뇨병 유병인구는 약 502만 명에 달하며, 실제로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사람 또한 2006년 약 223만 명에서 2016년 약 428만 명으로 10년 사이 두 배 증가했다. 그러나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사람 중 지속적으로 약물 치료를 받은 경우는 234 만 명(전체 진단자의 55%)에 불과하다.

2016년 당뇨병 조절률(당화혈색소 6.5%미만)이 32.9%에 불과한 이유는 투약 지속성이 낮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사람의 대부분(85%)이 고혈압이나 이상지질혈증을 동반하고 있어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국내 당뇨병 현황/표=대한당뇨병학회 제공​​

대한당뇨병학회 박경수 이사장은 “당뇨병 인구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며 “적극적인 혈당 관리로 합병증을 예방하고 평생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식사, 운동 등 생활습관의 개선과 함께 꾸준한 약물 치료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3대 만성질환 중 이상지질혈증 最多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에 따르면 2016년 이상지질혈증으로 진단 받은 사람은 약 1079만 명이다. 3대 만성질환 중 가장 많다. 또한, 2006년부터 10년 사이 이상지질혈증 진단자 수는 약 3.2배 증가해, 고혈압 1.6배, 당뇨병 1.9배에 비해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을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 적용하면, 이상지질혈증 유병인구는 1395만 명으로 추정된다. 전체 이상지질혈증 유병자 중 300만 명 이상은 아직 진단을 받지 못한다는 반증이다.

특히 3대 만성질환 중 이상지질혈증을 진단 받은 사람이 가장 많음에도, 2016년 이상지질혈증 치료를 위해 지속적으로 치료 받은 사람은 전체 진단자의 약 3분의 1 수준으로, 3대 만성질환 중 가장 낮았다. 또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조절률은 약 41%에 불과해 전체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자의 절반 이상이 질병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이상지질혈증 현황/표=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제공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김효수 이사장은 “이상지질혈증을 가진 사람이 약물 치료를 지속하는 비율이 가장 낮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이라며 “학회 차원에서도 이상지질혈증 관리의 필요성과 예방 교육을 강화하고, 약물 치료 효과에 대한 인식 개선도 함께 도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