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 질환은 다양한데 그중 치은염, 치주염, 치수염이 대표적이다. 명칭이 비슷해 헷갈리기 쉬운 이 질환들이 각각 무슨 질환이고 어떻게 치료하는지 알아본다.
◇치은염, 잇몸에 생긴 염증
치은염이란 '치은(잇몸)'에 생긴 염증을 말한다. 염증이 잇몸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치주인대나 잇몸뼈에는 퍼지지 않은 상태로 비교적 가벼운 질환에 속한다. 구강이 청결하지 못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입속이 불결한 상태라면 치태(프라크) 속에 있는 세균이 번식해 치은염이 발생한다. 치은염은 칫솔질로 쉽게 닦기 어려운 치아와 치아 사이, 요철이 있는 부위, 치석이 침착해 있는 부위 등에 주로 발생한다. 치은염이 생기면 잇몸이 자극받아 붉어지고, 통증이 발생한다. 음식물을 먹을 때나 이 닦을 때 피가 난다. 만성화되면 잇몸 깊이가 점점 깊어져 주의해야 한다.
치은염 치료는 증상에 따라 다르다. 상태가 가벼운 경우면 올바른 칫솔질로 치태를 제거하면 된다. 하지만 치석이 부착되어 있으면 칫솔질만으론 제거되지 않으므로 치과를 찾아 스케일링 치료를 받아야 한다. 강북다인치과 최헌주 대표원장은 “치은염은 통증이 크게 심하지 않아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많다”며 “증상이 심해지면 치주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제때 치료를 받거나 평소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치주염, 잇몸뼈 주변까지 퍼진 염증
치은염이 악화되면 잇몸뼈 주변까지 염증이 퍼지게 되는데, 이를 치주염이라고 한다. 치아를 둘러싼 지지조직에 염증이 생겨 치태 내의 세균과 독소에 의해 발생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치아를 지탱하고 있는 치주조직이 서서히 파괴되어 이가 흔들리고 끝내 빠져 버릴 수 있다. ‘풍치’라고도 불린다. 치주염도 구강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때 잇몸 염증이 발생하면서 시작된다. 지속적으로 구취가 발생하고 치아와 잇몸 사이에 고름이 발생한다. 차갑거나 신 음식을 먹으면 치아가 시리고 치아가 흔들리기도 한다. 음식물을 씹을 때 불편함을 느끼며, 자극을 주지 않아도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치주염은 초기에는 대부분 자각 증상이 없고, 중기나 말기가 되어서야 위 같은 여러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잇몸 염증의 원인인 치태를 제거한 뒤 염증에 의해 파괴된 치주조직의 형태를 회복시키는 식으로 치료한다.
◇치수염, 신경까지 침범한 염증
치아의 중심부에 있는 신경이나 혈관이 지나가는 곳이 치수다. 이곳이 충치나 치주염에 의해 세균 감염돼 염증이 생긴 것이 치수염이다. 치수염은 충치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해 두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충치를 방치하게 되면 상아질이 무너지고 치수에 구멍이 뚫려 세균이 침입해 염증을 일으키게 되기 때문이다. 치수염은 의학계 3대 고통 중 하나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치수에 염증이 생기면 그 속을 지나고 있는 혈관이 확장, 충혈되면서 혈액량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치수염이 급성으로 발성하거나 상태가 가벼울 경우에는 냉수나 차가운 공기에 의한 자극만으로 통증을 일으키지만 곧 가라앉는다. 그러나 상태가 악화되면 뜨거운 물만 마셔도 참기 힘든 통증이 지속되기도 한다. 평소에는 통증이 없다가도 충치 부위에 음식물이 들어갔을 때 격렬한 통증을 보이는 만성 치수염도 있다. 만성 치수염은 통증을 느끼다가도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증상이 되풀이된다.
치수염은 전문적인 치료 없이는 쉽게 낫지 않는 질환으로 반드시 치과 치료가 필요하다. 마취한 후 치수를 제거하는 신경치료를 해야 한다. 충치가 발생한 부위를 깎아 내고 그 부위를 레진이나 금으로 덮어씌우는 치료를 한다. 최헌주 대표원장은 “통증을 줄이기 위해 진통제를 습관적으로 복용할 경우 상태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며 ”치료 시기가 늦어질수록 염증이 턱, 혈액 등으로 번져 악관절염, 패혈증 등으로 발전할 수도 있으므로 제때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