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천식의 원인, "집먼지진드기·꽃가루도 조심해야"

입력 2015.04.15 15:26

소아 천식의 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천식이 소아에게 흔하게 발생하면서 소아 천식의 원인을 알아보는 부모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2010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천식 환자 중 10세 미만의 아동이 전체 환자의 41%로 가장 많았다. 소아 천식은 증상이 가벼워 보여도 발작 등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천식은 폐 속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인 기도(氣道)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겨 예민해진 상태를 말한다. 소아 천식의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있다.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피부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의 가족력이 있다면 소아 천식의 발생위험이 커진다. 대표적인 환경 요인은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동물의 털 등이며, 감기, 담배 연기, 황사, 대기오염, 기후변화, 스트레스 등에 의해 심해진다.

아이가 기침을 하고 있다.
아이가 기침을 하고 있다./사진=조선일보 DB

소아 천식의 대표 증상은 천명(기관지가 좁아져 숨 쉴 때 쌕쌕거리는 호흡)과 고통스러운 기침이다. 이런 증상은 이른 아침이나 운동할 때 자주 나타난다. 소아 호흡기는 성인보다 산소 교환 능력이 낮고, 호흡 근육이 미숙해서 심한 호흡곤란이 올 수 있지만 가벼운 천식을 지닌 소아는 주로 기침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천식을 감기로 오인해 내버려두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녀가 조금이라도 천식이 의심되는 증상을 보이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게 좋다.

소아 천식 환자는 조기에 발견해서 꾸준히 치료·관리하면 일상생활에 별다른 제약 없이 지낼 수 있고, 성장하면서 증상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소아 천식 환자가 있다면 평소 쾌적한 주거환경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먼저 청소와 공기정화 등으로 천식의 원인이 되는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등을 없애야 한다. 특히 집먼지진드기는 침구류에 많으니 1주일에 한 번 두들겨 털어야 하며, 한 달에 한 번 침구류를 일광 소독하면 더욱 좋다. 실내공기 관리를 위해서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거나 적절한 시간마다 환기를 해야 한다. 실내 습도는 50% 이하로 유지하는 게 적절하다.

소아 천식 환자에게는 견과류나 생선을 많이 섭취시키는 게 좋다. 아몬드, 호두, 땅콩 등에 많이 들어 있는 마그네슘은 기관지 근육을 이완시켜서 기도를 넓힌다. 생선에 들어 있는 오메가3지방산은 우리 몸이 알레르기 물질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작용한다고 알려졌다. 오메가3가 많이 든 생선을 1주일에 한 번 이상 섭취한 소아는 그렇지 않은 소아에 비해 천식에 덜 걸린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