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발표

우리 국민의 흡연율, 음주율은 감소했지만, 비만을 겪거나 우울감을 느끼는 비율은 높아진 것으로 드러났다.
질병관리본부는 22일 '2019 지역사회건강조사' 주요 결과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전국 255개 보건소가 주민건강실태 파악을 위해 2008년부터 만19세 이상 대상으로 보건소 당 약 900명(전국 약 23만명)의 표본을 추출, 매년 8~10월에 조사하는 법정조사다.
흡연·음주 비율 감소 추세
이번 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일반담배 현재흡연율은 2019년 기준 20.3%로 감소 추세고, 특히 남자는 2019년 기준 37.4%로 전년대비 3.2%p 감소했다. 지역 간 격차는 남자 흡연율의 경우 33.8%p로 전년(30.7%p) 대비 증가했고, 최근 3년 간 지속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간음주율은 2019년 59.9%로 전년대비 1%p 감소했고, 고위험음주율도 2019년 14.1%로 전년대비 0.9%p 감소했다. 지역 간 격차는 월간음주율의 경우 26.1%p, 고위험음주율은 19%p로 전년(월간음주율 25.7%p, 고위험음주율 18%p) 대비 다소 증가했다.


걷기 실천율 줄고 비만 유병률 늘어
우리 국민의 걷기 실천율은 2019년 40.4%로 전년대비 2.5%p 감소했고, 지역 간 격차는 58%p로 전년(70.4%p)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다. 금연, 절주, 걷기 등 3종의 건강행태를 모두 실천한 건강생활실천율은 2019년 28.4%로 전년대비 2.3%p 감소했고, 지역 간 격차는 45.1%p로 최근 3년만에 다시 감소했다.
비만 유병률은 2019년 34.6%로 전년대비 0.8%p 증가했고, 지역 간 격차는 20.6%p로 전년(25.5%p) 대비 감소했다.
주관적 건강인지율은 2019년 41.3%로 전년대비 1.1%p 감소했으며, 지역 간 격차는 38.6%p로 전년(36.8%p) 대비 증가했다.
우울감 겪는 비율 늘어나
우리 국민의 우울감 경험률은 2019년 5.5%로 전년대비 0.5%p 증가했고, 스트레스 인지율은 2019년 25.2%로 전년대비 1.2%p 감소했다. 지역 간 격차는 우울감 경험률의 경우 10.5%p, 스트레스 인지율은 26.4%p로 전년(우울감 11.7%p, 스트레스 29.8%p) 대비 감소했다
뇌졸중 조기 증상 인지율 높아져
뇌졸중(중풍) 조기증상 인지율은 2019년 61.7%로 전년대비 7.5%p 증가했고,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도 2019년 56.9%로 전년대비 6.8%p 증가해, 최근 3년간 지속 증가 추세였다. 지역 간 격차는 뇌졸중(중풍)의 경우 52.3%p로 전년(68.4%p) 대비 감소했고, 심근경색증도 58.1%p로 전년(70.5%p) 대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여전히 낮아
우리국민의 운전자석 안전벨트 착용률은 2019년 89.7%로 지속 증가 경향이었으나,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은 28.4%로, 안전벨트 전좌석 의무화가 2018년 9월부터 시행된 점을 고려했을 때 여전히 낮았다. 지역 간 격차는 운전자석의 경우 47.1%p로 최근 3년 간 감소했고, 뒷좌석은 52.0%p로 2018년부터 격차 폭이 크게 증가했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매년 발표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지역 보건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하고, 지역 간 건강지표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과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며 "흡연, 음주, 비만율 감소와 건강생활실천율 향상, 정신건강 및 심뇌혈관질환 관리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