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술을 마신 다음 날이면 해장을 위해 어김없이 국물이 있는 음식을 찾곤 한다. 특히 라면, 짬뽕, 해장국 등이 인기다. 얼큰한 국물이 속을 시원하게 풀어준다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음 후 먹는 맵고 짠 국물 음식은 오히려 간에 부담만 얹어준다.
음주 후에는 위산과다와 알코올 섭취로 인한 속 쓰림 현상이 나타나는데, 음식을 통해 이 같은 증상을 완화하려고 하는 것을 우리는 해장이라 부른다. 주로 맵고 짜면서 뜨거운 국물이 있는 음식을 선택하게 된다. 음주 후에는 위·식도 괄약근 압력이 떨어져 구토감이 드는데, 우선 음식이 들어가면 압력이 정상화되면서 구토감이 사라져 음식을 찾게 된다. 또 얼큰하고 뜨거운 국물을 먹으면 몸에 열이 나면서 땀이 나 속이 풀리는 듯한 기분이 든다.
그러나 사실 맵고 짠 음식은 해장에 맞지 않는다. 염분 함량이 높고 자극적이라 오히려 위벽에 2차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더불어 술 마신 다음 날에도 간은 남은 알코올을 해독해야 하는데, 라면이나 짬뽕 등에 들어있는 합성조미료나 식품첨가물 등은 간에 더 큰 부담을 안겨 준다. 기름진 음식도 마찬가지다. 기름진 음식은 소화가 더뎌 위에 부담을 더하고, 알코올을 분해하는 간에 영양소를 빨리 공급하지 못하게 한다. 해장을 술로 하는 사람도 있는데, 해장술은 숙취 해소 효과가 전혀 없다. 다시 알코올 농도가 높아지면서 간의 해독작용에 피해만 갈 뿐이다.
해장에 가장 좋은 것은 물이다. 물은 알코올의 이뇨작용으로 몸에서 과도하게 빠져나간 수분을 보충하고 몸속에 남아있는 알코올을 희석한다. 과일 주스도 괜찮다. 과일 주스에 함유된 비타민과 당이 숙취 해소에 도움을 준다. 국물 음식을 먹고 싶다면, 맑게 끓인 콩나물국이나 북엇국이 좋다. 콩나물의 아스파라긴산은 알코올 속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고 열을 내려주며, 북어에 많은 메티오닌 역시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를 돕는다. 이외에 오이나 달걀도 해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