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 음식, ADHD 위험 높여… 그 밖의 주의 물질은?

어린이 뒷모습
어린이에게 ADHD를 유발하는 위험 요인 13가지 중 10가지가 환경호르몬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조선일보 DB

어린이에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유발할 수 있는 유해물질 13가지 중 10가지가 환경호르몬인 것으로 나타났다. ADHD는 주의력 결핍·과한 행동·충동성이 주 증상인 정신 질환이다. 우리나라 어린이의 2~7.6%가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임명호 교수팀은 오늘(7일) 해외 유명 학술 검색엔진에서 ADHD 유발 원인으로 가장 많이 거론된 물질 13가지 중 10가지가 환경호르몬이었다고 밝혔다.

임 교수팀의 리뷰 논문에 따르면, 해외 유명 학술지에 ADHA의 발병·악화와 관련이 있다고 적힌 유해물질은 ▲유기인계농약 ▲PCB·유기염소계농약 ▲프탈레이트 ▲비스페놀A ▲PFC ▲PAH ▲수은 ▲납 ▲비소 ▲카드뮴 ▲망간 ▲담배 ▲알코올 모두 13가지였다.

이중 환경호르몬으로 분류되는 물질이 ▲PCB·유기염소계농약 ▲프탈레이트 ▲비스페놀A ▲PFC ▲PAH ▲수은 ▲납 ▲비소 ▲카드뮴 ▲망간으로 10가지에 달했다.
프탈레이트·비스페놀A는 일부 플라스틱에, 수은·납·비소·카드뮴은 중금속에, PAH는 탄 음식에 들어 있다.

이에 연구팀은 "어린이의 ADHA 예방을 위해서는 프탈레이트·비스페놀A가 들어 있지 않은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중금속에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 탄 음식을 먹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임산부의 흡연·음주도 자녀의 ADHD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졌다. 임명호 교수는 "동물실험에서 어미의 흡연에 간접 노출된 새끼가 저체중으로 태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며 "저체중은 ADHD의 위험요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임신 중 음주에 대해 임 교수는 "태아 알코올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며 "ADHD와 태아 알코올 증후군은 서로 다른 질환이지만 증상은 비슷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좎럩瑗띰쭩酉몌옙�⑥삕 �좎럥�삼옙占� �좎떬�낅츩占쎈냲�쇿뜝��占쏙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