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중국의 한 어린이가 막대사탕을 먹다가 넘어지면서 막대가 입안을 찌르며 뇌까지 관통한 안타까운 사고가 보도됐다.
지난 26일(현지시각) 머스트웨어 뉴스 등 외신 매체에 따르면, 중국 6세 어린이가 대나무 막대에 달린 엿 사탕을 물고 가던 중 넘어졌다. 이때 사탕 막대기가 아이 입을 뚫고 들어갔고 어린이는 극심한 고통을 호소했다. 입으로 들어간 막대기는 두개골까지 뚫어 뇌까지 들어갔다.
부모는 곧바로 아이를 병원으로 데려갔고, CT를 촬영한 결과 11cm의 대나무 막대기는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소뇌까지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병원 측은 신경외과, 마취과, 소아과, 치과 전문의로 구성된 팀을 구성해 7시간의 대수술을 끝냈다. 다행히 아이는 수술 후 특별한 합병증이나 감염 없이 2주 후 퇴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6일(현지시각) 머스트웨어 뉴스 등 외신 매체에 따르면, 중국 6세 어린이가 대나무 막대에 달린 엿 사탕을 물고 가던 중 넘어졌다. 이때 사탕 막대기가 아이 입을 뚫고 들어갔고 어린이는 극심한 고통을 호소했다. 입으로 들어간 막대기는 두개골까지 뚫어 뇌까지 들어갔다.
부모는 곧바로 아이를 병원으로 데려갔고, CT를 촬영한 결과 11cm의 대나무 막대기는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소뇌까지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병원 측은 신경외과, 마취과, 소아과, 치과 전문의로 구성된 팀을 구성해 7시간의 대수술을 끝냈다. 다행히 아이는 수술 후 특별한 합병증이나 감염 없이 2주 후 퇴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치의는 아이들이 막대기나 젓가락 같은 날카로운 물건을 들고 뛰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경고했다. 또 신체에 이물질이 박혔을 때 임의로 제거하지 않고 곧바로 병원으로 이송할 것을 경고했다.
사탕을 먹는 아이들에게서 종종 각종 사고가 발생해 주의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사탕을 잘못 삼켜 기도가 막히는 경우다. 아이가 갑자기 말을 못 하고 얼굴이 자주색으로 변하거나 헐떡거리는 소리를 낸다면 질식일 수 있다. 이때도 즉시 119이 신고를 하고, 하임리히법을 시행해야 한다. 영유아라면 아이의 얼굴이 아래로 향하게 하고, 손 아랫부분으로 등을 5회 두드린다. 이후 아이의 얼굴이 위로 향하게 하고, 가슴 중앙을 중지와 약지로 깊게 5번 누른다. 이물질이 나올 때까지 두 동작을 반복한다. 유아라면 무릎을 세워 허벅지에 아이를 엎드리게 한 뒤 등을 두드리거나 명치를 압박해도 좋다. 질식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누워 있을 때 음식을 먹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써야 하며 음식을 입에 넣고 뛰어놀거나 웃지 않도록 교육한다.
사탕을 먹는 아이들에게서 종종 각종 사고가 발생해 주의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사탕을 잘못 삼켜 기도가 막히는 경우다. 아이가 갑자기 말을 못 하고 얼굴이 자주색으로 변하거나 헐떡거리는 소리를 낸다면 질식일 수 있다. 이때도 즉시 119이 신고를 하고, 하임리히법을 시행해야 한다. 영유아라면 아이의 얼굴이 아래로 향하게 하고, 손 아랫부분으로 등을 5회 두드린다. 이후 아이의 얼굴이 위로 향하게 하고, 가슴 중앙을 중지와 약지로 깊게 5번 누른다. 이물질이 나올 때까지 두 동작을 반복한다. 유아라면 무릎을 세워 허벅지에 아이를 엎드리게 한 뒤 등을 두드리거나 명치를 압박해도 좋다. 질식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누워 있을 때 음식을 먹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써야 하며 음식을 입에 넣고 뛰어놀거나 웃지 않도록 교육한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