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미료 과다 섭취도 당뇨병 위험 높여”

설탕을 빼고, 다른 감미료로 단맛을 채워 넣은 '제로 슈거' 식품이 일상이 됐다. 이젠 어떤 마트를 가도 쉽게 '제로 슈거' 식품을 찾아볼 수 있을 정도다. 제로 떡볶이, 제로 비빔면 등 음료나 간식을 넘어서서 일반 음식에도 설탕 대체 감미료가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 크로아티아에서 매우 다양한 식품에 대체감미료가 활용되면서, 허용섭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어린이들은 허용량을 초과해 섭취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우리나라도 만만치 않게 많은 식품에 감미료가 활용되고 있는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크로아티아 연구팀 "어린이, 감미료 과다 섭취 위험 커"
크로아티아 스플리트대 의대 연구팀은 크로아티아에서 유통되는 식품 내 주요 감미료(아세설팜-K, 아스파탐, 사카린, 사이클라메이트 등) 존재 여부와 어린이들의 하루 섭취량을 평가한 결과를 지난 22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음료, 주스, 껌 등 121개 식품 속 인공감미료 함유량을 분석했다. 다수에서 인공감미료가 확인됐는데, 탄산음료 제품 중에서는 74%, 과일주스는 54%, 에너지음료 86%, 고단백 유제품 70% 그리고 껌 66%에서 인공감미료가 확인됐다. 여러 감미료가 함께 사용된 제품이 많았다.
연구팀은 섭취량을 소비자 설문조사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짜 확인했고, 어린이들은 체중 대비 하루 섭취 허용량(ADI)을 초과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ADI는 사람이 평생 매일 먹어도 건강상에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하루 섭취량을 말하는데, 체중 1kg당 양으로 측정된다. 상대적으로 체중이 덜 나가는 어린이일수록 허용 섭취량이 낮아 초과해 섭취할 가능성이 커진다. 가천대 길병원 소아청소년과 류일 교수는 "과도한 감미료 섭취는 설탕이 아니어도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확인된 연구 결과가 있다"며 "특히 어린이는 소화하고 자정하는 능력이 떨어져 더 취약한데, 당뇨병은 물론 알레르기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단백질 음료, 과일 주스 등에서 감미료 함유 사실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며 "여러 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돼 누적 섭취량이 쉽게 높아질 가능성이 있고, 표시가 잘 안돼있어 소비자 개인이 계산하기 어려워, 특히 어린이는 과다 섭취할 위험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국가에서 식품 라벨링 규정 준수를 강화하고, 단일 ADI를 적용하는 현재 평가 방식의 한계점을 해결하려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국내 실태조사 결과, '아직은 안전'
당장 한국은 위험한 수준은 아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지난 2021년 주요 감미료 5품목(스테비올배당체,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사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에 대해 어린이 섭취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섭취수준은 ADI 대비 1.4% 이하 수준으로 낮았다. 섭취군만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도 2.6% 이하였고, 상위 5% 고섭취군을 대상으로 봤을 때도 11.3%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식약처는 "식품첨가물에 대한 기준규격을 주기적으로 재평가하고 있다"며 "최근 제로식품이 유행함에 따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감미료별 섭취수준을 평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필요한 조치가 있는지 검토할 예정"이라고 했다.
◇제품 구매 전 원재료명 표시란 확인해야
과다 섭취를 방지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결국 소비자가 직접 표기를 확인하고, 주의하는 것이다. 현재 감미료 중 사카린나트륨, 아스파탐, 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이 사용됐다면 제품에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오는 2026년부터는 스테비올배당체, 만니톨, D-말티톨, 말티톨시럽, D-소비톨,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등도 의무 표기된다.
ADI는 성분마다 달라진다. 스테비올배당체는 하루 1kg당 4mg(30kg 어린이라면 120mg)까지 섭취 가능하고, 아스파탐은 1kg당 40mg, 수크랄로스는 5mg, 아세설팜칼륨 9mg인 식이다. 하지만 함량 표기는 의무가 아니다. 따라서 여러 제품을 섭취할 때 겹치는 성분이 많다면 주의하는 게 안전하다. 또 페닐케톤뇨증을 앓는 환자라면 아스파탐을 섭취하면 안 된다. 아스파탐은 아스파르트산과 페닐알라닌을 결합해 만든 물질로, 아스파탐을 섭취하면 체내 섭취된 페닐알라닌을 대사할 수 없어 위험할 수 있다. 고대안암병원 가정의학과 이규배 교수는 "제품에 표기된 사항을 잘 확인하고 과다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어린이는 단맛에 쉽게 길들어, 설탕이 없는 제품으로 시작해 향후 설탕이 들어있는 탄산음료, 과자 등을 더 쉽게 섭취하게 될 수 있으므로 제로슈가 제품이어도 최대한 삼가는 게 좋다"고 했다.
◇크로아티아 연구팀 "어린이, 감미료 과다 섭취 위험 커"
크로아티아 스플리트대 의대 연구팀은 크로아티아에서 유통되는 식품 내 주요 감미료(아세설팜-K, 아스파탐, 사카린, 사이클라메이트 등) 존재 여부와 어린이들의 하루 섭취량을 평가한 결과를 지난 22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음료, 주스, 껌 등 121개 식품 속 인공감미료 함유량을 분석했다. 다수에서 인공감미료가 확인됐는데, 탄산음료 제품 중에서는 74%, 과일주스는 54%, 에너지음료 86%, 고단백 유제품 70% 그리고 껌 66%에서 인공감미료가 확인됐다. 여러 감미료가 함께 사용된 제품이 많았다.
연구팀은 섭취량을 소비자 설문조사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짜 확인했고, 어린이들은 체중 대비 하루 섭취 허용량(ADI)을 초과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ADI는 사람이 평생 매일 먹어도 건강상에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하루 섭취량을 말하는데, 체중 1kg당 양으로 측정된다. 상대적으로 체중이 덜 나가는 어린이일수록 허용 섭취량이 낮아 초과해 섭취할 가능성이 커진다. 가천대 길병원 소아청소년과 류일 교수는 "과도한 감미료 섭취는 설탕이 아니어도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확인된 연구 결과가 있다"며 "특히 어린이는 소화하고 자정하는 능력이 떨어져 더 취약한데, 당뇨병은 물론 알레르기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단백질 음료, 과일 주스 등에서 감미료 함유 사실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며 "여러 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돼 누적 섭취량이 쉽게 높아질 가능성이 있고, 표시가 잘 안돼있어 소비자 개인이 계산하기 어려워, 특히 어린이는 과다 섭취할 위험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국가에서 식품 라벨링 규정 준수를 강화하고, 단일 ADI를 적용하는 현재 평가 방식의 한계점을 해결하려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국내 실태조사 결과, '아직은 안전'
당장 한국은 위험한 수준은 아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지난 2021년 주요 감미료 5품목(스테비올배당체,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사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에 대해 어린이 섭취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섭취수준은 ADI 대비 1.4% 이하 수준으로 낮았다. 섭취군만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도 2.6% 이하였고, 상위 5% 고섭취군을 대상으로 봤을 때도 11.3%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식약처는 "식품첨가물에 대한 기준규격을 주기적으로 재평가하고 있다"며 "최근 제로식품이 유행함에 따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감미료별 섭취수준을 평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필요한 조치가 있는지 검토할 예정"이라고 했다.
◇제품 구매 전 원재료명 표시란 확인해야
과다 섭취를 방지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결국 소비자가 직접 표기를 확인하고, 주의하는 것이다. 현재 감미료 중 사카린나트륨, 아스파탐, 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이 사용됐다면 제품에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오는 2026년부터는 스테비올배당체, 만니톨, D-말티톨, 말티톨시럽, D-소비톨,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등도 의무 표기된다.
ADI는 성분마다 달라진다. 스테비올배당체는 하루 1kg당 4mg(30kg 어린이라면 120mg)까지 섭취 가능하고, 아스파탐은 1kg당 40mg, 수크랄로스는 5mg, 아세설팜칼륨 9mg인 식이다. 하지만 함량 표기는 의무가 아니다. 따라서 여러 제품을 섭취할 때 겹치는 성분이 많다면 주의하는 게 안전하다. 또 페닐케톤뇨증을 앓는 환자라면 아스파탐을 섭취하면 안 된다. 아스파탐은 아스파르트산과 페닐알라닌을 결합해 만든 물질로, 아스파탐을 섭취하면 체내 섭취된 페닐알라닌을 대사할 수 없어 위험할 수 있다. 고대안암병원 가정의학과 이규배 교수는 "제품에 표기된 사항을 잘 확인하고 과다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어린이는 단맛에 쉽게 길들어, 설탕이 없는 제품으로 시작해 향후 설탕이 들어있는 탄산음료, 과자 등을 더 쉽게 섭취하게 될 수 있으므로 제로슈가 제품이어도 최대한 삼가는 게 좋다"고 했다.
占쎌꼶利뷸�⑨옙 占쎈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