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중국에서 훠궈 맛집으로 유명한 한 식당에서 마약류인 양귀비를 사용한 사실이 적발됐다.
지난 27일(현지시각) 중국 샤오샹 모닝 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후베이성 이창시 공안과 시장감독관리국이 지역 음식점들을 대상으로 식품 안전 점검을 하던 중 한 식당의 음식물 쓰레기에서 마약 성분인 모르핀이 검출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당국은 즉시 해당 식당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고, 주방에서 수상한 가루가 담긴 투명한 양념통을 발견했다. 식당 주인 리모씨는 “양념은 직접 만든 것”이라며 향신료를 넣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경찰이 현장에서 마약류 검사를 실시한 결과, 양념에서 모르핀 성분이 검출됐다. 이후 전문 분석기관에서 검사하자, 양념에서 모르핀·코데인·티바인·날코틴 등 아편 성분이 검출됐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리씨는 지난해 2월부터 양귀비 열매를 갈아 향신료와 섞어 음식에 사용했다. 리씨는 “훠궈에 양귀비를 조미료로 넣으면 더 맛있어진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음식 맛을 더 좋게 만들어 손님을 끌기 위해 사용했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양귀비 열매를 갈아서 쓰면 쉽게 들키지 않을 것으로 생각해 이 같은 행동을 벌인 것 같다고 추정했다. 법원은 리씨에게 유해 식품 생산 및 판매 혐의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 판매 금액의 10배에 해당하는 벌금형을 선고했다. 또 평생 식품 제조·판매업에 종사할 수 없도록 처분했다. 양귀비 열매에서 추출한 아편은 모르핀, 헤로인 같은 중독성이 강한 마약을 만들 때 쓰일 수 있다. 중국은 철저히 단속하고 있지만, 여전히 중국 내 많은 식당에서 양귀비를 조미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약은 중독성이 술이나 담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강하다. 게다가 술과 담배보다도 뇌 손상을 빠르게 일으킨다. 마약에 중독되면 내성이 생겨 중독성이 더 강한 마약을 찾는다. 금단 증상의 괴로움도 심하다. 초기 금단 증상은 보통 일주일~한 달 사이에 나타나는데, ▲탈진 ▲복통 ▲두통 ▲환시 ▲환각 ▲수면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외에도 살 빠짐, 손발 저림 현상, 치아 통증, 탈모 등 금단 증상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중국 훠궈 식당에서 발견됐다는 모르핀은 뇌에 있는 엔도르핀 수용체와 결합하고, 행복 호르몬으로 알려진 엔도르핀이 몸속에 가득 찬 착각을 하게 만든다. 몸과 머리를 마비시켜 괴로움과 통증을 잊게 한다. 그런데, 내성으로 인해 다량으로 사용하면 호흡마비와 심장마비로 사망할 위험이 있다.
중국에서 양귀비를 향신료로 쓰다 적발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중국 남서부 구이저우성 타이장현 경찰은 드론으로 순찰을 하다 아파트 옥상에서 양귀비꽃을 발견했다. 조사 결과, 옥상에 있던 양귀비꽃은 900여 그루에 달했으며, 양귀비를 재배한 여성은 자신이 운영하는 훠궈 식당의 향신료로 쓰기 위해 재배했다고 진술했다. 당시 이 여성은 불법 마약 식물 재배 혐의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 벌금 3000위안(약 56만 원)을 선고받았고, 재배했던 양귀비를 모두 정부에 반납했다.
한편, 한국에서는 양귀비를 재배하면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마약 목적으로 사용하려고 했든, 아니든 소지만 하고 있어도 처벌받을 수 있다. 100그루 이상 재배할 경우에는 기소하여 처벌한다. 하지만 털양귀비, 두메양귀비, 개양귀비 품종은 마약 성분이 없어서 합법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지난 27일(현지시각) 중국 샤오샹 모닝 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후베이성 이창시 공안과 시장감독관리국이 지역 음식점들을 대상으로 식품 안전 점검을 하던 중 한 식당의 음식물 쓰레기에서 마약 성분인 모르핀이 검출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당국은 즉시 해당 식당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고, 주방에서 수상한 가루가 담긴 투명한 양념통을 발견했다. 식당 주인 리모씨는 “양념은 직접 만든 것”이라며 향신료를 넣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경찰이 현장에서 마약류 검사를 실시한 결과, 양념에서 모르핀 성분이 검출됐다. 이후 전문 분석기관에서 검사하자, 양념에서 모르핀·코데인·티바인·날코틴 등 아편 성분이 검출됐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리씨는 지난해 2월부터 양귀비 열매를 갈아 향신료와 섞어 음식에 사용했다. 리씨는 “훠궈에 양귀비를 조미료로 넣으면 더 맛있어진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음식 맛을 더 좋게 만들어 손님을 끌기 위해 사용했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양귀비 열매를 갈아서 쓰면 쉽게 들키지 않을 것으로 생각해 이 같은 행동을 벌인 것 같다고 추정했다. 법원은 리씨에게 유해 식품 생산 및 판매 혐의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 판매 금액의 10배에 해당하는 벌금형을 선고했다. 또 평생 식품 제조·판매업에 종사할 수 없도록 처분했다. 양귀비 열매에서 추출한 아편은 모르핀, 헤로인 같은 중독성이 강한 마약을 만들 때 쓰일 수 있다. 중국은 철저히 단속하고 있지만, 여전히 중국 내 많은 식당에서 양귀비를 조미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약은 중독성이 술이나 담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강하다. 게다가 술과 담배보다도 뇌 손상을 빠르게 일으킨다. 마약에 중독되면 내성이 생겨 중독성이 더 강한 마약을 찾는다. 금단 증상의 괴로움도 심하다. 초기 금단 증상은 보통 일주일~한 달 사이에 나타나는데, ▲탈진 ▲복통 ▲두통 ▲환시 ▲환각 ▲수면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외에도 살 빠짐, 손발 저림 현상, 치아 통증, 탈모 등 금단 증상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중국 훠궈 식당에서 발견됐다는 모르핀은 뇌에 있는 엔도르핀 수용체와 결합하고, 행복 호르몬으로 알려진 엔도르핀이 몸속에 가득 찬 착각을 하게 만든다. 몸과 머리를 마비시켜 괴로움과 통증을 잊게 한다. 그런데, 내성으로 인해 다량으로 사용하면 호흡마비와 심장마비로 사망할 위험이 있다.
중국에서 양귀비를 향신료로 쓰다 적발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중국 남서부 구이저우성 타이장현 경찰은 드론으로 순찰을 하다 아파트 옥상에서 양귀비꽃을 발견했다. 조사 결과, 옥상에 있던 양귀비꽃은 900여 그루에 달했으며, 양귀비를 재배한 여성은 자신이 운영하는 훠궈 식당의 향신료로 쓰기 위해 재배했다고 진술했다. 당시 이 여성은 불법 마약 식물 재배 혐의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 벌금 3000위안(약 56만 원)을 선고받았고, 재배했던 양귀비를 모두 정부에 반납했다.
한편, 한국에서는 양귀비를 재배하면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마약 목적으로 사용하려고 했든, 아니든 소지만 하고 있어도 처벌받을 수 있다. 100그루 이상 재배할 경우에는 기소하여 처벌한다. 하지만 털양귀비, 두메양귀비, 개양귀비 품종은 마약 성분이 없어서 합법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