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래 걷거나 운동해 발 피부에 마찰이 지속하면 물집이 생긴다. 아프진 않아도 괜히 불편해 터뜨리고 싶다. 터뜨려야 빨리 나을 것 같은데, 사실일까?
물집은 단백질 성분의 묽은 체액이 고여 반구 모양으로 솟아오른 것이다. 새 신이나 꽉 끼는 신발을 신고 오래 걸었을 때 잘 생긴다. 작은 물집은 웬만하면 터뜨리지 않는 게 좋다. 신발 속은 습하기 때문에 물집 터뜨린 곳이 세균에 노출되기 쉽다. 2차 감염이 발생해 오히려 상처가 오래갈 수 있다. 터뜨리지 않고 허물이 벗겨질 때까지 기다리면 보통 일주일만에 자연스레 낫는다.
외부 자극으로 생긴 물집이 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로 빵빵하게 부풀었을 땐 다르다. 이땐 물집 주변과 바늘을 깨끗하게 소독한 뒤 터뜨려준다. 가만 내버려뒀다가 소독하지 못한 채 일상 속에서 불시에 터지는 것보다는 낫기 때문이다. 먼저 물집 표면에 소독약(과산화수소)을 바른다. 소독된 바늘은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가 혈장 체크할 때 사용하는 ‘란셋(lancet)’이라는 기구가 있는데, 끝이 뾰족해서 물집 터뜨리기에 적합하다. 구멍으로 체액을 빼낸 뒤, 평평해진 피부에 다시 한번 소독약을 발라준다. 반창고를 붙이고, 물이 닿지 않도록 관리한다. 터뜨리지 않고 있던 물집이 자신도 모르는 새 터졌다면 발견한 즉시 소독하고 반창고를 붙여준다.
물집도 예방할 수 있다. 발 피부에 가해지는 마찰을 최소화하면 된다. 새 신을 신고 오래 걸어야 하는 날이면, 양말을 신기 전 마찰이 잦은 부위에만 바셀린을 조금 발라준다. 발 안을 덜 습하게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발에 땀이 나면 피부에 가해지는 마찰도 커진다. 나일론보다는 모나 면소재 양말이 신발 속 습기를 줄이기 좋다. 오래 걸을 땐 주기적으로 신발을 벗어 발에 바람을 쐐 준다.
한편, 물집을 눌렀을 때 아프거나, 입술·몸통 등 특이한 부위에 물집이 생기면 함부로 터뜨리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대상포진, 수족구병, 자가 면역 질환 등 질환 때문에 생긴 것일 수 있다. 원인 질환을 진단해 알맞은 치료를 받아야 한다.
물집은 단백질 성분의 묽은 체액이 고여 반구 모양으로 솟아오른 것이다. 새 신이나 꽉 끼는 신발을 신고 오래 걸었을 때 잘 생긴다. 작은 물집은 웬만하면 터뜨리지 않는 게 좋다. 신발 속은 습하기 때문에 물집 터뜨린 곳이 세균에 노출되기 쉽다. 2차 감염이 발생해 오히려 상처가 오래갈 수 있다. 터뜨리지 않고 허물이 벗겨질 때까지 기다리면 보통 일주일만에 자연스레 낫는다.
외부 자극으로 생긴 물집이 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로 빵빵하게 부풀었을 땐 다르다. 이땐 물집 주변과 바늘을 깨끗하게 소독한 뒤 터뜨려준다. 가만 내버려뒀다가 소독하지 못한 채 일상 속에서 불시에 터지는 것보다는 낫기 때문이다. 먼저 물집 표면에 소독약(과산화수소)을 바른다. 소독된 바늘은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가 혈장 체크할 때 사용하는 ‘란셋(lancet)’이라는 기구가 있는데, 끝이 뾰족해서 물집 터뜨리기에 적합하다. 구멍으로 체액을 빼낸 뒤, 평평해진 피부에 다시 한번 소독약을 발라준다. 반창고를 붙이고, 물이 닿지 않도록 관리한다. 터뜨리지 않고 있던 물집이 자신도 모르는 새 터졌다면 발견한 즉시 소독하고 반창고를 붙여준다.
물집도 예방할 수 있다. 발 피부에 가해지는 마찰을 최소화하면 된다. 새 신을 신고 오래 걸어야 하는 날이면, 양말을 신기 전 마찰이 잦은 부위에만 바셀린을 조금 발라준다. 발 안을 덜 습하게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발에 땀이 나면 피부에 가해지는 마찰도 커진다. 나일론보다는 모나 면소재 양말이 신발 속 습기를 줄이기 좋다. 오래 걸을 땐 주기적으로 신발을 벗어 발에 바람을 쐐 준다.
한편, 물집을 눌렀을 때 아프거나, 입술·몸통 등 특이한 부위에 물집이 생기면 함부로 터뜨리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대상포진, 수족구병, 자가 면역 질환 등 질환 때문에 생긴 것일 수 있다. 원인 질환을 진단해 알맞은 치료를 받아야 한다.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