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속 작은 혈관, 막히면 인지 저하… ‘이렇게’ 하면 증상 개선

입력 2025.02.19 08:30
뇌소혈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뇌의 작은 혈관이 손상되거나 막히는 '뇌소혈관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인지 기능'이 빠르게 저하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관리만 잘해도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집중력·기억력 급격히 나빠졌다면… 뇌 소혈관 손상됐을 수도
뇌의 대혈관이 막히거나 손상되면 뇌졸중, 뇌출혈 등처럼 증상이 명확히 나타난다. 하지만 뇌소혈관질환은 초기 단계 증상이 매우 미미하고 모호해 알아차리기 어렵다. 이대로 방치하면 뇌는 서서히 기능을 잃어간다. 주로 ▲손 떨림 ▲걸음걸이 느려짐 ▲언어 장애 ▲한쪽 입가나 손발 마비 등의 증상이 미세하게 보인다. 이땐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최근 고려대 의대 신철 교수팀이 뇌소혈관질환이 있는 중장년·노년층에서 인지 기능이 크게 감소한다는 연구를 '란셋 지역 건강-서태평양(The Lancet Regional Health-Western Pacific)' 저널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49~79세 성인 2454명을 대상으로 뇌 자기공명영상(MRI)과 인지 능력을 추적해 8년 전과 후를 비교·분석했다. 2011~2022년 진행된 대규모 코호트 연구 데이터를 활용했다.

그 결과, 연구 참가자의 37%에서 뇌소혈관질환이 있었지만, 알지 못했다. 이들은 뇌소혈관질환이 없는 군보다 '집중력'과 '기억력'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뇌소혈관질환이 있는 군의 인지 능력 저하가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철 교수는 "중장년층과 노년층에서 뇌소혈관질환은 인지 기능 저하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며 "특히 실행 기능인 집중력과 기억력에서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났다"고 했다.

◇고혈압·당뇨 등 기저질환자, 혈관 관리해야
뇌소혈관질환을 방치하면 인지 기능만 저하할 뿐 아니라, 치매·보행 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관리법은 명확하다. ▲고혈압 ▲당뇨 ▲수면무호흡증 등 혈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질환을 앓고 있다면 정기적으로 뇌 건강을 점검하고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걸 권장한다. 동맥 경화 지수가 높은 사람도 마찬가지다. 보라매병원·서울대병원 공동 연구팀이 30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동맥경화 지수가 0.29 이상인 사람은 뇌소혈관질환 중 열공성 뇌경색 발병 위험이 1.72배 더 높았다. 신철 교수는 "수면무호흡과 동반된 고혈압이나 당뇨병 같은 기저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뇌소혈관질환의 위험이 커지므로, 조기 진단과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했다.

기저 질환이 없더라도 45세 이상이거나, 흡연자라면 뇌소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건강한 식습관과 적절한 운동으로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하도록 관리해야 한다.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