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자에서 나온 벌레… 가공 전 유입인지, 개봉 후 들어갔는지 ‘이것’ 뿌려보면 안다

입력 2025.01.17 06:00
벌레
(윗줄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과자 속 벌레, 플라스틱이 검출된 과자, 냉동 베리류 속 섬유(실), 소스류에서 나온 유리./사진=한정애 의원실
맛있는 과자를 먹을 생각에 들떠있다가, 십중팔구 식욕이 떨어지는 상황이 있다. 이물을 발견했을 때다. 이물이 벌레라면, 언제 들어간 건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수를 뿌려보면 된다.

◇가장 많이 확인된 식품 이물은 '벌레'
식품 혼입 신고 중 가장 많이 차지하는 이물이 '벌레'다. 2024 식품의약품안전백서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명확히 확인된 이물은 '벌레'가 21.9%로 가장 많았다. 이후 곰팡이, 플라스틱, 금속, 유리 순이었다.

세스코가 2023년 1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이물로 발견된 벌레 데이터를 집계해 보니, 파리류(31%), 나방류(25%), 딱정벌레류(18%), 노린재류(5%), 바퀴류(4%) 순으로 많았다. 구체적으로 나방파리, 화랑곡나방, 권연벌레가 대표적인 이물이었다. 곤충의 특성 탓인데, 나방파리는 물이 있는 환경이면 어디든 있어 퇴치가 어렵고, 화랑곡나방은 유충이 밀가루 등 곡류, 옥수수, 견과류, 건조 과실, 채소, 초콜릿, 과자류 등에 주로 서식한다. 권연벌레는 건조된 동·식물질에 산란하고 곡류, 한약재, 잎담배, 티백 등을 먹이원으로 한다.

◇가공 전 들어간 벌레는 과산화수소 뿌렸을 때 거품 안 올라와
곤충을 발견하면 일단 찝찝하다. 곤충 자체에 균이 있거나, 식품이 비위생적인 곳에서 제조됐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확인할 수 있다. 먼저 개봉 후에 외부에서 들어온 건 아닌지부터 알아본다. 과산화수소를 떨어뜨려 보면 된다. 거품이 안 올라온다면, 원료에 벌레가 혼입됐거나 제조 중 들어갔을 수 있다. 거품이 올라온다면 외부에서 들어왔을 가능성이 크다. 곤충 체내에는 과산화수소와 반응해 산소를 유발하는 '카탈라아제' 효소가 있다. 가공 전 곤충이 들어갔다면, 가열돼 곤충의 카탈라아제는 비활성화된다. 이땐 과산화수소수와 효소가 반응하지 않아, 거품이 올라오지 않는다. 이를 '카탈라아제 시험법'이라고 한다.

다만, 직접 시험을 해보기 전에 반드시 지켜야 하는 수칙이 있다. 먼저 발견 당시의 상태 그대로 사진 기록을 남겨놓는다. 곤충의 전체 모양과 국부 확대 모양 등 사진을 가능한 한 자세히, 많이 촬영한다.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고한다. 1399 식품안전정보원에 전화하거나, 식품안전나라 소비자 신고 모바일 앱을 이용하면 된다. 신고 접수를 하면 식약처에서는 이물 발견 경위, 식품 정보, 이물 사진 등으로 시료를 수거할지 결정한다. 보통 이물을 수거하지 않고, 신고자가 보관하도록 요청한다. 이때 카탈라아제 검사를 해도 되는지 문의 후 진행하면 된다.

소비자의 카탈라아제 검사가 정밀 검사에 악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다만, 검사 중 검체 소실·훼손 가능성이 있어 법적 증빙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향후 책임 소재를 심리할 때, 불리할 수 있다. 또 검사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곤충이 부패했거나, pH 등에 따라서 검사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