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방역 규제들이 완화돼 야간 모임이 늘면서 술자리도 덩달아 잦아지는 추세다. 하지만 과음은 건강에 좋지 않고, 특히나 알코올성 지방간이나 간염 등 간질환을 앓는 사람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보건복지부 지정 알코올질환 전문 다사랑중앙병원 내과 전용준 원장은 "간 질환자라면 안전한 음주 범위가 없어 금주가 필수"라며 "침묵의 장기라 불리는 간에서 발생하는 질환은 보통 전조 증상이 없어, 장기간 음주 후 병원을 찾았을 때는 이미 질병이 많이 진행된 상태일 때가 많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실제 다사랑중앙병원 통계를 보면, 지난해 10~12월 입원한 환자 726명의 주요 신체질환을 조사한 결과, 간이 딱딱하게 굳고 그 기능을 소실하게 된 간경변증 환자가 131명에 달했다. 뿐만 아니라 고혈압(271명), 당뇨(211명) 등 각종 성인병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용준 원장은 "익히 알다시피 과도한 음주는 필연적으로 지방간을 초래한다"며 "지방간은 술을 끊고 충분한 휴식과 영양을 취하면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음주를 계속하면 약 20~30%에서는 알코올성 간염을 유발하고, 지속되면 10% 정도에서 간경변증으로 악화된다"고 말했다. 간경변증이 심해지면, 간 기능 저하로 황달, 위장관 출혈, 복막염, 간성혼수 등이 일어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속된 음주는 식도정맥류(식도 정맥이 혹처럼 부풀어오르는 상태)를 유발해 결국 정맥류가 파열해 심한 출혈로 이어지기도 한다. 전용준 원장은 "간경변증은 자칫 간암으로 진행될 위험도 높다"며 "간경변으로 굳어진 간을 다시 건강한 간으로 회복시키기는 어렵지만 서둘러 치료를 시작하면 간 섬유화의 부분적 호전과 더불어 진행도 막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음주는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지만, 개인의 의지로 금주가 어렵다면 전문병원을 방문하는 것도 방법이다. 전용준 원장은 "병원에서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정신과적 치료를 병행하는 등의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내과 전용준 원장 "영양 부족 상태에서는 술로 인한 간 손상이 더 심해지므로 식사를 거르지 않는 것도 중요한 사실이다"라며 "개인의 의지로 금주가 어려운 경우에는 전문병원을 방문하여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정신과적인 치료를 받거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첨언했다.
실제 다사랑중앙병원 통계를 보면, 지난해 10~12월 입원한 환자 726명의 주요 신체질환을 조사한 결과, 간이 딱딱하게 굳고 그 기능을 소실하게 된 간경변증 환자가 131명에 달했다. 뿐만 아니라 고혈압(271명), 당뇨(211명) 등 각종 성인병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용준 원장은 "익히 알다시피 과도한 음주는 필연적으로 지방간을 초래한다"며 "지방간은 술을 끊고 충분한 휴식과 영양을 취하면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음주를 계속하면 약 20~30%에서는 알코올성 간염을 유발하고, 지속되면 10% 정도에서 간경변증으로 악화된다"고 말했다. 간경변증이 심해지면, 간 기능 저하로 황달, 위장관 출혈, 복막염, 간성혼수 등이 일어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속된 음주는 식도정맥류(식도 정맥이 혹처럼 부풀어오르는 상태)를 유발해 결국 정맥류가 파열해 심한 출혈로 이어지기도 한다. 전용준 원장은 "간경변증은 자칫 간암으로 진행될 위험도 높다"며 "간경변으로 굳어진 간을 다시 건강한 간으로 회복시키기는 어렵지만 서둘러 치료를 시작하면 간 섬유화의 부분적 호전과 더불어 진행도 막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음주는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지만, 개인의 의지로 금주가 어렵다면 전문병원을 방문하는 것도 방법이다. 전용준 원장은 "병원에서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정신과적 치료를 병행하는 등의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내과 전용준 원장 "영양 부족 상태에서는 술로 인한 간 손상이 더 심해지므로 식사를 거르지 않는 것도 중요한 사실이다"라며 "개인의 의지로 금주가 어려운 경우에는 전문병원을 방문하여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정신과적인 치료를 받거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첨언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