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주일에 150분 적당한 강도(평소보다 숨이 조금 더 차는 정도)로 운동하면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크게 개선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술을 많이 마시지 않더라도 음식물을 과다하게 섭취해 간에 5% 이상의 중성지방이 생긴 것이다. 마른 체형, 비만이 아닌 정상 체중에서도 발생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지속적인 간 손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술로 생긴 지방간 못지않게 위험하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밀턴허시메디컬센터 연구팀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551명(평균 연령 53세, 체질량 지수 31.1)을 대상으로 운동 빈도와 강도를 다르게 실시한 14가지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 결과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간 지방량을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측정했으며, 간 지방이 30% 이상 감소했을 때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봤다.
연구 결과, 운동하는 사람들이 운동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간 지방을 30% 이상 감소시킬 가능성이 3.5배 더 높았다. 특히 일주일에 150분 정도 적당한 강도로 운동한 사람들의 39%가 지방간 개선 효과를 본 반면, 이보다 적은 시간 운동을 하는 사람들의 26%만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운동이 지방을 연소해 혈중 지방성분을 줄이고, 근육량을 증가시켜 인슐린 작용을 도왔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연구 저자 조나단 스타인 교수는 "매주 운동을 하면 개인차가 있지만 최소 4주에서 최대 1년 안에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국 소화기내과학회 학술지 '소화기 내과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logy)'에 최근 게재됐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밀턴허시메디컬센터 연구팀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551명(평균 연령 53세, 체질량 지수 31.1)을 대상으로 운동 빈도와 강도를 다르게 실시한 14가지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 결과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간 지방량을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측정했으며, 간 지방이 30% 이상 감소했을 때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봤다.
연구 결과, 운동하는 사람들이 운동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간 지방을 30% 이상 감소시킬 가능성이 3.5배 더 높았다. 특히 일주일에 150분 정도 적당한 강도로 운동한 사람들의 39%가 지방간 개선 효과를 본 반면, 이보다 적은 시간 운동을 하는 사람들의 26%만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운동이 지방을 연소해 혈중 지방성분을 줄이고, 근육량을 증가시켜 인슐린 작용을 도왔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연구 저자 조나단 스타인 교수는 "매주 운동을 하면 개인차가 있지만 최소 4주에서 최대 1년 안에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국 소화기내과학회 학술지 '소화기 내과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logy)'에 최근 게재됐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