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고대 안암병원,정밀 의료데이터로AI신약개발'정확도·속도'높인다
-
- 출처:의사신문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연구부(연구부원장 박범진)와'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8일 밝혔다. 지난3월27일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화정연구동5층 회의실에서 개최된 업무협약식에는 박준석 대웅제약신약센터장과 박범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연구부원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대웅제약의 풍부한 신약 개발 경험과AI신약 개발 기술력,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이 연구중심병원으로서 보유하고 있는 의료 데이터 자원 등의 연구 경쟁력을 접목해 상호 협력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체결됐다.협약을 통해 양측은△AI신약 개발 및 연구에 필요한기술과 자원 공유△유전체 데이터,생체 데이터,임상 데이터 등의 제공 및 활용을 위한 상호 협력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웅제약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이 보유한 양질의 의료 데이터와 약물 평가 역량을 활용해AI신약 개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또한,기존보다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신약 후보 물질을 확보함으로써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을 확장할 계획이다.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은 대웅제약이AI를 활용해 발굴한 후보 물질을 실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신약 개발 과정의 신뢰도를 높일 예정이다. 대웅제약의AI신약 개발 플랫폼은 내부 화합물 라이브러리인 다비드(DAVID), AI가 가상 탐색을 통해 유효 화합물을 찾아내는 데이브스(DAIVS),그리고 약물이 표적과 강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저분자 화합물들의 구조를 최적화하는 데이프래그(DAIFrag)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또한 약물의 흡수,분포,대사,배설,독성 등 약물의 주요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데이지(DAISY)를 활용해,신약 후보 물질 선정 과정을 더욱 정교하게 진행하고 신약 개발의 효율성과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한편,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은 보건복지부 지정 연구중심병원으로 병원이 보유한 임상 현장 경험과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약·의료기기·디지털헬스 기술을 개발하고,이를 산업계와 연계해 실용화하는 것도 목표로 하고 있다.현재 병원은신약 개발을 위한 표적 단백질(Target)을 연구하고 있으나,이에 적용 가능한 유효한 화합물은 아직 확보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따라 대웅제약은 자체AI신약 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해당 표적에 적합한 신약 후보 물질을 발굴하고 최적화할 계획이다.발굴된 후보 물질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이 실험을 통해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며,양 기관은 이를 바탕으로 혁신 신약 개발 가능성을 함께 모색할 예정이다. 박범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연구부원장은"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이 보유한 연구 역량을 결합하여 신약 개발의 효율성과 성공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며"AI기반 신약 개발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준석 대웅제약 신약센터장은"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이 가속화되는 가운데,고려대학교 안암병원과의협력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며"병원에서 발굴한 유망 타겟을 제약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신약 개발로 연결하여 혁신 신약을 발굴하고,나아가 산업계와 병원 간AI신약 개발 협력 생태계 구축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국GSK보카브리아주+레캄비스주사 새틀라이트 심포지엄 성료
-
- 출처:의사신문
한국GSK(한국법인대표 마우리치오 보르가타)는 지난3·4일 양일간 열린2025대한항균요법학회·대한감염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보카브리아주(카보테그라비르600mg)+레캄비스주사(릴피비린900mg)병용요법의 새틀라이트 심포지엄'The Light'를 성황리에 마쳤다고8일 밝혔다. 최초의 장기 지속형HIV치료제 보카브리아주+레캄비스주사 병용요법이 환자의 일상에 빛이 되어HIV치료의 내일을 밝힌다는 의미의'The Light'라는 테마 아래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국내 유수 감염내과 전문의들이 좌장과 연자로 참여해, HIV치료 환경 변화와 경구 치료제 대비 투약 횟수를 줄인 장기 지속형HIV치료제 보카브리아주+레캄비스주사 병용요법의 임상적 가치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 강의를 맡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김정호 교수는'HIV치료의 새 시대 그리고 장기 지속형HIV주사제 치료로 인한HIV감염인의 새로운 삶'을 주제로,기존 치료 환경에서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s)와 함께1일1회 경구제 기준 연간365일이던 투약 횟수를2개월 유지요법 기준 연간6일로 줄이며 복약편의성을 향상시킨 장기 지속형HIV치료제의 임상적 가치에 대해 소개했다. 김 교수는 "다양한HIV치료제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1일1회 경구제를 복용하는HIV감염인들은 여전히 일상생활에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는데 국내HIV감염인들의 삶도 크게 다르지 않다.실제 국내HIV감염인164명을 대상으로 한 인식 조사 연구 결과에 따르면,△복용시 다른 사람의 시선이 의식되는 것(73%, n=119/164)△HIV치료제 복용할 때마다HIV감염 사실이 상기되어 우울감이나 불편한 감정을 느낌(51%, n=84/164)등의 이유로 경구제 복약에 대해 상당한 심리적 부담을 호소한다"며 국내에서도 장기 지속형HIV치료제의 필요성에 대해 짚었다. 이어"보카브리아주+레캄비스주사 병용요법은 통합효소 억제제(INSTI, Integrase Strand Transfer Inhibitor)계열 항레트로바이러스제와 비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억제제(NNRTI, 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계열 항레트로바이러스제가 결합된 치료제로,효과적으로 바이러스를 억제함은 물론 내성 장벽이 높고 근육주사로 투여하는 경우 위장관에서의 약물상호작용(DDI)의 위험을 없앴다는 장점이 있다.다양한HIV감염인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들을 통해,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함에 따라 바이러스학적으로 억제되어 있고(HIV-1 RNA
의사신문
김동희 기자
ocean830@empa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