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통사고 사망자는 감소하고 추락·낙상으로 인한 사망자는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질병관리청 '제12차 국가손상종합통계'에 따르면 2020년 손상 사망자는 인구 10만 명당 51.5명이었으며, 2011년 대비 2020년 교통사고 사망자는 38% 감소(6316명→3947명), 추락·낙상으로 인한 사망자는 24% 증가(2144명→2663명) 했다.
2020년 손상으로 인한 진료비는 5만 147억 원이었으며, 2011년(3만 358억 원) 대비 65.2% 증가했다.
지난 해부터 시행한 ‘중대재해 처벌에 관한 법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 ‘직업손상’ 통계 분석을 한 결과, 직업손상으로 입원하는 주요 손상기전은 둔상·관통상(40.5%), 추락·낙상(33.1%)이었으며, 연령별로 60세 미만은 둔상·관통상이, 60세 이상은 추락·낙상으로 인한 입원이 많이 발생했다.
생애주기별로 주로 발생하는 손상을 분석한 결과, 10세 미만 어린이는 추락·낙상으로 인한 손상이 많았고, 100명 중 2명은 추락으로 응급실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7세 이하 아동‧청소년 1000명 중 4명은 아동학대를 경험했다. 10~ 40대는 운수사고로 인한 손상이 많았다. 특히, 30대는 교통사고 손상 경험이 많았고(1000명 중 7.9명), 40대는 1만 명 중 5.3명이 자해, 자살로 응급실을 방문했다.
50대는 1만 명 중 43.2명이 산업재해를 경험하는 등 직업과 관련된 손상이 많았다. 60세 이상에서는 추락 및 낙상이 많았는데, 70대 이상 노인 100명 중 1.6명은 추락으로 응급실을 방문했고, 3.4명은 추락으로 입원, 1만 명 중 2.6명은 추락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손상으로 인한 진료비는 5만 147억 원이었으며, 2011년(3만 358억 원) 대비 65.2% 증가했다.
지난 해부터 시행한 ‘중대재해 처벌에 관한 법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 ‘직업손상’ 통계 분석을 한 결과, 직업손상으로 입원하는 주요 손상기전은 둔상·관통상(40.5%), 추락·낙상(33.1%)이었으며, 연령별로 60세 미만은 둔상·관통상이, 60세 이상은 추락·낙상으로 인한 입원이 많이 발생했다.
생애주기별로 주로 발생하는 손상을 분석한 결과, 10세 미만 어린이는 추락·낙상으로 인한 손상이 많았고, 100명 중 2명은 추락으로 응급실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7세 이하 아동‧청소년 1000명 중 4명은 아동학대를 경험했다. 10~ 40대는 운수사고로 인한 손상이 많았다. 특히, 30대는 교통사고 손상 경험이 많았고(1000명 중 7.9명), 40대는 1만 명 중 5.3명이 자해, 자살로 응급실을 방문했다.
50대는 1만 명 중 43.2명이 산업재해를 경험하는 등 직업과 관련된 손상이 많았다. 60세 이상에서는 추락 및 낙상이 많았는데, 70대 이상 노인 100명 중 1.6명은 추락으로 응급실을 방문했고, 3.4명은 추락으로 입원, 1만 명 중 2.6명은 추락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