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5년간 15% 증가… 의심 증상은 '손 떨림'?

입력 2022.04.11 09:57
한쪽 손으로 다른쪽 손을 잡고 있는 모습
파킨슨병은 가만히 있을 때 떨리는 '안정시 떨림'을 주로 동반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국내 파킨슨병 환자 수가 최근 5년간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세계 파킨슨의 날(4월 11일)을 맞아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2020년 '파킨슨병'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파킨슨병 연평균 증가율 3.6%
국민건강보험공단 발표에 따르면, 국내 파킨슨병 진료인원은 지난 2016년 9만6764명에서 2020년 11만1312명으로 1만4548명(15%)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3만8644명에서 2020년 4만6369명으로 20.0%(7725명) 증가, 여성은 2016년 5만8120명에서 2020년 6만4943명으로 11.7%(6823명)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20년 기준 70대가 37.9%(4만2172명)로 가장 많았고, 80세 이상이 36.5%(4만603명), 60대가 18.7%(2만819명)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70대가 39.6%로 가장 많았고, 여성의 경우에는 80세 이상 40.7%, 70대 36.7%, 60대 16.8% 순으로 나타났다.

◇가만히 있을 때 몸 떨려
파킨슨병의 특징적인 주요 임상증상에는 떨림, 운동완서(느려짐), 근육의 경직, 보행 장애, 자세 이상 및 자세 불안정이 있다. 파킨슨병 환자 중 약 70%에서 나타나는 임상 양상인 떨림은 주로 안정 시 떨림으로, 가만히 앉아 있거나 특히 걸을 때 잘 보인다. 가장 대표적인 파킨슨병 임상증상은 몸의 움직임이 느려지고 운동의 진폭이 작아지는 상태인 운동완서와 움직일 때 뻣뻣해 유연성이 떨어지는 것을 느끼는 근육 경직이 있다. 몸이 앞으로 굽는 자세 이상 및 병이 진행하면서 걷기 시작할 때 발이 안 떨어지거나, 종종걸음, 보행 동결이 나타나서 앞으로 넘어지거나 자세 불안정으로 균형을 잡지 못해 자주 넘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파킨슨병은 이러한 운동증상이 기본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병의 초기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비운동증상 역시 거의 대부분 나타난다. 비운동성 증상은 크게 자율신경계 이상, 정신신경이상 증상, 수면장애, 후각기능 이상, 통증 등이 있다. 정신신경이상의 증상으로는 우울, 불안감, 무감동, 정신병증, 인지기능장애, 충동조절장애 등이 있으며, 자율신경계 이상으로는 침 흘리기, 기립성 저혈압, 소변장애, 성기능 장애, 위장관 운동장애, 땀 분비 기능 이상 등의 증상이 있다. 수면장애로는 불면증, 렘수면행동장애, 과도한 주간 졸림이 있으며, 이 이외에 통증, 피곤함, 후각장애 등의 증상이 있다.

◇약물 치료 필요
파킨슨병을 진단받게 되면 먼저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게 일반적이다. 파킨슨병의 약물치료의 목적은 완치가 아닌 일상생활을 잘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따라서 약물 치료를 할 때는 환자의 나이, 직업, 사회 활동 정도, 파킨슨병 질병의 중증도, 환자가 불편해하는 증상, 약 복용 기간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해 현재의 치료 및 장기적인 치료계획을 세우는 개개인의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다. 

환자 및 보호자들이 파킨슨약의 부작용 및 합병증 등을 걱정해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면 환자의 사회 활동에 제한뿐 아니라 증상이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보행 장애 등이 발생하여 낙상이나 골절의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무조건 약물 치료 시작 시기를 늦추거나 약을 거부 하기보다는 환자의 상태 및 환자의 치료 목표에 대해 파킨슨 전문의와 충분히 상의해 약의 종류와 용량을 조절하는 게 좋다.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