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쩍 더워진 날씨에 벌레까지 기승을 부리기 시작했다. 모기, 개미 등에 물린 작은 상처를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간 피부병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여름철 발생하기 쉬운 피부병을 알아본다.
◇곤충교상
곤충교상은 모기, 개미, 벌, 지네 등의 곤충류에 물려 피부에 나타나는 이상 증상이다. 곤충의 타액에 들어 있는 독소나 곤충의 일부가 피부에 남아 생긴 이물 반응에 의해 나타난다. 피부가 붉어지거나 단단한 구진이 생기며, 중심부에 곤충에 물린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통증, 부종, 가려움증 등을 동반하며 드물게 물집이 생기기도 한다. 특히 벌이나 개미에 물리면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는데, 심할 경우 아나필락시스 쇼크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곤충에 물렸을 때는 상처 부위를 깨끗이 씻고 벌침이 보이면 신속히 제거해야 한다.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시 즉시 병원에 방문해 전문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된장이나 간장 등을 바르는 민간요법은 상처를 자극할 수 있어 삼간다.
◇독나방피부염
독나방피부염은 독나방이나 독나방의 유충인 송충과 접촉해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송충의 체모가 피부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상처로 독물이 들어와 피부에 염증을 유발한다. 피부에 붉은 발진이나 구진이 나타나며 따끔거림과 가려움증을 동반한다. 시간이 지나면 열감과 물집이 생기기도 한다. 염증 부위를 긁으면 주위로 두드러기가 번지기 때문에, 긁지 않고 물로 씻어내는 게 적절하다. 스테로이드 연고나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농가진
농가진은 여름철 어린이에게 흔히 발생하는 피부 질환으로 전염성이 매우 강하다. 주로 벌레에 물린 상처나 아토피로 생긴 상처를 통해 감염되며 물집, 고름, 노란색 딱지 등이 생긴다. 전염되기 쉬워 하루 만에 온몸에 퍼지며 고열과 설사를 동반하기도 한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 물과 비누로 상처 부위를 깨끗이 씻어 딱지를 제거하고 항생제 연고를 바르는 것이 좋다. 농가진이 온몸에 퍼지거나 고열이 있을 때는 병원 상담 후 7~10일 동안 항생제를 복용한다. 예방을 위해선 손과 손톱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상처를 함부로 긁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