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TV 등 전자기기를 오래 사용하는 아이는 '공감능력'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르웨이 과학기술대 연구팀은 2007~2012년 4~6세 어린이 약 1000명을 대상으로 전자기기 사용과 공감능력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전자기기 사용 시간, 장소에 대한 설문조사와 공감능력 검사를 함께 시행했다. 공감능력 검사는 장난감이 망가진 한 아이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행복·분노·슬픔·중립 중 그 아이의 감정에 알맞은 표정을 고르는 방식이다.
분석 결과, 전자기기 사용 시간이 길거나, 잠자리에서 전자기기를 사용할수록 공감능력이 더 낮게 나타났다. 특히 여아가 남아보다 전자기기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
기쁨, 슬픔 등 기본적인 감정에 대한 공감능력은 4~6살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아이는 부모와의 쌍방향 소통을 통해 공감능력을 배운다. 하지만 전자기기는 일방향적인 소통만 가능해 아이들이 공감능력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연구를 주도한 베라 스칼리카 박사는 "아이가 공감능력을 형성할 때는 전자기기보다 부모와의 교류에서 더 큰 영향을 받는다"며 "이를 고려해 세계보건기구(WHO)는 5세 미만 아동은 전자기기를 하루 최대 1시간만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전자기기 사용 시간, 장소에 대한 설문조사와 공감능력 검사를 함께 시행했다. 공감능력 검사는 장난감이 망가진 한 아이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행복·분노·슬픔·중립 중 그 아이의 감정에 알맞은 표정을 고르는 방식이다.

기쁨, 슬픔 등 기본적인 감정에 대한 공감능력은 4~6살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아이는 부모와의 쌍방향 소통을 통해 공감능력을 배운다. 하지만 전자기기는 일방향적인 소통만 가능해 아이들이 공감능력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연구를 주도한 베라 스칼리카 박사는 "아이가 공감능력을 형성할 때는 전자기기보다 부모와의 교류에서 더 큰 영향을 받는다"며 "이를 고려해 세계보건기구(WHO)는 5세 미만 아동은 전자기기를 하루 최대 1시간만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