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자리에서 '수다쟁이'가 돼야 하는 이유

술자리
음주 전 식사를 하고, 술을 마실 때 말을 많이 하면 심한 숙취를 예방할 수 있다./사진=헬스조선DB

12월이 시작됐다. 이번주말부터 술 약속을 잡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이때 자신의 주량보다 지나치게 마시면 어김없이 숙취가 찾아온다. 알코올이 분해되고 남은 아세트알데히드가 간에 쌓여 독성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숙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본다.

◇말 많이 하고 물 마시기
술자리에서는 수다쟁이가 되어 보자. 말을 많이 하는 것도 숙취 예방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말을 많이 하면 술을 천천히 마실 수 있을뿐더러 혈중 알코올 농도가 줄어든다. 몸에 흡수된 알코올의 10% 정도는 숨을 내쉴 때 배출되는데, 말을 하면 호흡 횟수가 늘어나 배출되는 알코올양도 늘어난다. 술을 마시는 도중 물을 수시로 마시는 것도 좋다. 마찬가지로 몸속에서 알코올을 희석해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낮춰준다.

◇음주 전 가벼운 식사하기
술을 마시기 1~2시간 전에 가벼운 식사를 하면 심한 숙취를 예방할 수 있다. 공복 상태보다는 죽이나 스프 처럼 부드러운 음식이라도 먹어두는 게 좋다. 빈속에 술을 마시면 위벽이 자극돼 속쓰림 등이 생기고, 다음날 설사나 복통을 겪을 수 있다. 위에 음식물이 든 상태에서는 알코올이 체내에 천천히 흡수되고 흡수율도 떨어져 체내 알코올 농도가 줄어든다. 안주로는 치킨·곱창 등 고열량 음식보다는 수육·샐러드 등 기름기가 적고 단백질·섬유소가 많은 음식을 먹는 게 좋다. 특히 단백질은 손상된 간세포의 회복을 돕고, 알코올의 흡수를 늦추는 효과가 있다.

◇다음날 꿀물·황태국·해조류 먹기
술 마신 다음 날 숙취해소에 도움 되는 음식을 먹는 것도 효과적이다. 꿀물은 대표적인 해장 식품인데, 체내 수분과 당질이 충분해야 간의 아세트알데히드가 분해되는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음주 후에는 혈당이 일시적으로 떨어지는데, 꿀물로 당을 보충하면 저혈당으로 인한 두통·무기력 등을 막을 수 있다. 황태국도 좋다. 황태에 풍부한 메티오닌이 간에서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돕고 간에 영양을 공급해준다. 미역·다시마 등의 해조류도 숙취 해소에 좋다. 이에 든 칼슘·철·아미노산은 알칼리성이라 위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간의 해독작용을 도와준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