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 심뇌혈관질환 예방이 필수다

입력 2017.03.14 06:00

[황인태 기자의 헬스 톡톡]

심장
/헬스조선 DB
13년 뒤인 2030년 한국인 평균 수명은 남성 84.07세, 여성 90.82세까지 연장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임페리얼컬리지런던과 세계보건기구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의 평균 수명을 분석한 결과다. 2015년 기준(남성 77.90세, 여성 84.60세)보다 남성은 6.17년, 여성은 6.22년 더 오래 산다는 의미다. 2015년 기준 세계 최장수 국가인 일본(남성 80세, 여성 86.9세)을 넘어서는 것이다. 연구보고서가 한국을 최장수 국가로 전망한 이유는 질 좋은 의료서비스를 언제나 받을 수 있어서였다. 하지만 오래 사는 것과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은 다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건강하게 오래 산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인실태조사(2014년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46.2%가 3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앓는다. 또 2016년 기준 65세 이상 총 진료비는 25조 187억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38.7%를 차지했다.

건강하게 오랫동안 살려면 질병에 잘 걸리지 않아야 하는데, 특히 노년층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심뇌혈관질환(심근경색, 뇌출혈, 뇌경색, 협심증 등) 예방에 가장 신경을 써야 한다. 2016년 건강보험 진료비 통계를 살펴보면 65세 이상이 가장 많이 진료 받은 질병 1~10위에 심뇌혈관질환인 뇌경색(4위)과 협심증(8위)이 들었다. 1인당 진료비는 치매가 1263만1354원으로 가장 많았지만, 뇌경색(956만3400원)과 협심증(399만8695원)을 합하면 치매보다 진료비가 높았다.

심뇌혈관질환은 생명과 직결될뿐 아니라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데다 노인 의료비 부담의 가장 큰 원인이다. 더욱이 노년층에서 심뇌혈관질환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65세 이상 뇌경색 진료 인원은 7만4815명으로 2015년 대비 16.2%가 증가했다. 협심증은 21.3%가 늘었다. 심뇌혈관질환이 고령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은 고혈압·당뇨·이상지질혈증 등 선행질환이 급증함에도 관리는 소홀하기 때문이다. 2015년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유병자 기준 고혈압 조절율은 46.2%, 당뇨병 26.6%, 고콜레스테롤혈증 39.7%에 불과했다.

노화로 인해 심뇌혈관이 약해지는 것은 피하기 힘들다. 하지만 혈압과 혈당, 콜레스테롤 관리에 신경을 쓰면 건강한 노년 생활을 누릴 수 있다. 30분 이상 빨리 걷기와 조깅은 산소 소비량을 늘려 중성지방을 낮추고,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져 있는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킨다. 질 좋은 지방 섭취도 필요하다. 육류의 지방, 버터 등 포화지방산보다는 견과류, 생선 등을 통해 지방을 섭취하면 좋다. 허리 둘레가 남성 90㎝(35.4인치), 여성 85㎝(33.5인치)를 넘을 경우 고혈압 위험 2배, 당뇨병 위험은 2.1배 증가한다. 허리 둘레를 줄이려면 평소 에너지 섭취량보다 500㎉ 정도 줄여야 한다. 매끼 밥 반 공기씩 덜어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