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명 '빅5 병원'의 응급실 환경이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보건복지부가 자유한국당 김상훈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게 제출한 '2016년 응급의료기관 평가' 자료에 따르면, 전체 평가 병원 144곳 중 빅5 병원이 모두 하위권에 머물렀다.
이번 평가에서는 △병상포화지수(응급실 과밀화 정도), △중증상병환자 전체 응급실 재실 기간 등 총 두 개 부분에 대한 평가가 이뤄졌다.
병상포화지수에서 서울대병원 144위(165%), 서울성모병원 142위(126%), 세브란스병원 140위(121%), 서울아산병원 128위(85%), 삼성서울병원 90위(47%)였다. 병상포화지수가 100%를 웃돌면 병상보다 환자 수가 많아서 대기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고 봐야 한다.
응급 환자가 수술을 받거나 병실로 옮기기까지 얼마나 기다려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인 중증상병환자 전체 응급실 재실 기간에서는 서울대병원 144위(19.2시간), 서울성모병원 143위(17.2시간), 서울아산병원 137위(14시간), 세브란스병원 134위(13시간), 삼성서울병원 104위(6.6시간)였다.
김상훈 의원은 "응급 환자가 빅5 병원으로 몰리는 현상이 응급실 환경의 질적 저하를 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병원들의 응급실 인프라가 우수한 것을 간과할 수는 없지만, 진료의 질적·양적 측면을 적절히 평가하는 기회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占쎌꼶利뷸�⑨옙 占쎈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