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산 포인트병원 최종민 대표원장>
허리 통증은 많은 현대인이 겪는 문제 중 하나다. 특히 척추관 협착증과 허리 디스크는 대표적인 허리 질환으로, 둘 다 허리와 다리로 이어지는 통증을 유발하지만 원인과 증상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이 필요하다.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이 좁아져 신경이 압박되는 상태다. 허리 통증 보다는 주로 걷거나 서 있을 때 다리가 저리거나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나며 앉아서 휴식 시 증상이 호전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디스크 탈출증에 비해 서서히 증상이 악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반면, 허리 디스크는 급격히 추간판이 돌출되거나 손상돼 신경을 누르면서 허리와 다리로 이어지는 통증을 유발하며 협착증보다는 허리 통증을 동반한 경우가 많고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증상이 급격히 악화되는 특징이 있고 특정 자세에서 더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 두 질환은 증상이 겹칠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치료 방법 역시 질환의 특성과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협착증은 증상이 경미한 경우 비수술적 치료로 관리가 가능하지만, 신경 압박이 심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디스크의 경우에도 초기에는 약물이나 물리치료로 증상을 조절할 수 있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허리 질환으로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반드시 경험 많은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척추는 신체의 중심을 이루는 부위로, 치료 과정에서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숙련된 의료진은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정상조직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맞춤형 수술을 계획하고 진행하며, 수술 후 회복 과정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허리 통증을 방치하면 증상이 악화되거나 다른 부위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증상부터 적극적으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허리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척추는 우리 몸의 중심입니다. 최종민 원장님이 알려주는 척추 건강 관리 방법과 노화로 인한 척추 질환 예방 팁으로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이어가세요. 최적의 척추 건강을 위한 가이드를 만나보세요!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