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우울증, 파킨슨병 위험 66%까지 높여"

입력 2020.09.10 10:02

보라매병원 연구 결과

얼굴 감싸쥔 노인
우울증을 겪는 노인은 파킨슨병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우울증을 겪는 노인은 파킨슨병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파킨슨병은 여러 뇌 신경전달물질 중 운동 기능에 필요한 '도파민'의 소실로 발생하는 만성퇴행성질환이다. 증상은 가벼운 손 떨림부터 근육 강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심한 경우 걷기조차 어려워 정상적인 일상이 불가능해질 수 있어 예방과 관리가 필수다.

서울시보라매병원 신경과 이지영 교수 연구팀은 2009~2013년 만 66세에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은 122만3726명의 한국인 코호트 데이터를 이용해, 노년기의 우울증 및 낙상경험이 향후 파킨슨병의 발병 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했다.

이 교수팀은 연구 대상자를 평균 4.2년 추적 관찰한 결과, 파킨슨병이 1년간 인구 1000 명 중 약 1.3명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상당수가 우울증이나 낙상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질병의 연관 요인들을 보정하는 콕스비례위험모형을 통해 요인별 파킨슨병 발병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우울증을 가지고 있는 노인일 경우 향후 파킨슨병이 발병할 위험이 우울증이 없는 경우에 비해 약 30%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울증과 함께 낙상 경험도 가지고 있는 경우 발병위험은 무려 66% 가량 증가했다.

이지영 교수는 “우울증은 정서 처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뇌 속 편도체의 기능저하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파킨슨병의 발생 원인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며 “특히 노년기에 우울증을 느끼는 분들이 낙상까지 경험하게 되면, 시너지효과로 인해 파킨슨병 발병 위험은 더욱 상승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은 연령이 상승할수록 발병률도 함께 증가하고, 발병 이후에는 완치가 어려운 난치성 질환인 만큼 평소 우울증세를 느끼면서 낙상도 자주 경험하는 어르신들은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바이오메드 센트럴-노인의학(BMC-Geriatrics)’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좎럩瑗띰쭩酉몌옙�⑥삕 �좎럥�삼옙占� �좎떬�낅츩占쎈냲�쇿뜝��占쏙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