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비슷… 호흡발작 오면 위험
대구의 한 산후조리원에서 신생아 18명이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에 집단으로 감염된 사례가 발생했다. RSV는 눈이나 코 점막을 통해 인체에 침투해 세기관지염(폐포 바로 위쪽 기관지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1세 이하 영아의 70% 정도가 한 번은 감염될 만큼 흔하다. 그렇지만 단순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병을 놓칠 수 있다. 최근 RSV감염증이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 통계에 따르면 1월 첫째 주에만 RSV감염증으로 입원한 환자가 694명이었다.
RSV에 감염돼 세기관지염에 걸리면 처음 2~3일은 콧물·코막힘·미열·기침 같은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 중 3분의 1 정도는 호흡곤란 같은 비교적 심각한 증세로 이어져 입원 치료를 받고, 입원 치료 환자 중 2%는 호흡발작·탈수증 때문에 사망하기도 한다. 한림대한강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지영 교수는 "겨울부터 초봄까지 4~5개월간 유행하며, 소아기 폐렴의 15~25%, 입원 치료가 필요한 세기관지염의 45~75%가 RSV가 원인"이라며 "합병증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RSV가 의심되면 혈액검사로 감염 여부를 알 수 있긴 하지만, 치료제가 나와 있는 건 아니다. RSV세기관지염이 진단되더라도 대부분 실내 적정 습도를 유지하고 체내 수분을 보충하는 대증요법을 쓰면 낫는다. 만약 천명(쌕쌕거림)이 들리거나 호흡이 가빠지거나 청색증(피부가 푸르스름해지는 것) 등이 나타나면 악화 신호이므로 이땐 산소치료·수액치료 등을 집중적으로 받을 수 있는 입원 치료를 권장한다.
RSV에 감염돼 세기관지염에 걸리면 처음 2~3일은 콧물·코막힘·미열·기침 같은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 중 3분의 1 정도는 호흡곤란 같은 비교적 심각한 증세로 이어져 입원 치료를 받고, 입원 치료 환자 중 2%는 호흡발작·탈수증 때문에 사망하기도 한다. 한림대한강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지영 교수는 "겨울부터 초봄까지 4~5개월간 유행하며, 소아기 폐렴의 15~25%, 입원 치료가 필요한 세기관지염의 45~75%가 RSV가 원인"이라며 "합병증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RSV가 의심되면 혈액검사로 감염 여부를 알 수 있긴 하지만, 치료제가 나와 있는 건 아니다. RSV세기관지염이 진단되더라도 대부분 실내 적정 습도를 유지하고 체내 수분을 보충하는 대증요법을 쓰면 낫는다. 만약 천명(쌕쌕거림)이 들리거나 호흡이 가빠지거나 청색증(피부가 푸르스름해지는 것) 등이 나타나면 악화 신호이므로 이땐 산소치료·수액치료 등을 집중적으로 받을 수 있는 입원 치료를 권장한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