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 사이에서 고혈압 환자의 목표 혈압에 대한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그동안 의료계에서는 혈압을 '140/90㎜Hg 미만'으로 조절하는 게 좋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는데, 지난해 미국 국립보건원과 고혈압합동위원회가 "당뇨병이나 신장질환이 없는 60세 이상 노인은 목표 혈압을 '150/90㎜Hg 미만'으로 조절하라"는 새 진료 지침(8차 지침)을 발표한 뒤 논란이 시작됐다.
◇"140/90㎜Hg 미만으로 조절"
지난해 나온 진료 지침에서 목표 혈압을 140/90㎜Hg 미만에서 150/90㎜Hg 미만으로 조정한 근거는 "80세 이상의 고령 고혈압 환자의 경우, 약물 등으로 혈압을 140/90㎜Hg 미만으로 떨어뜨렸을 때 오히려 부작용이 발생했다는 연구가 많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국내 의료계는 물론 미국 의료계에서도 반대하는 의견이 만만치 않다. 즉 고혈압 환자의 나이와 상관없이 혈압을 140/90㎜Hg 미만으로 조절하면 된다는 것이다. 대한고혈압학회에서 권고하는 목표 혈압도 140/90㎜Hg 미만이다.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 김철호 교수는 "미국에서 나온 새 고혈압 진료 지침은 통계학적으로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연구만을 뽑아서 만든 지침"이라며 "이전의 지침과 달리 다양한 연구 결과를 참고하지 않고 직접 환자를 보는 의료진의 의견도 반영하지 않아 미국에서도 많은 논란이 있다"고 말했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성지동 교수는 "지금까지 이뤄진 대규모 역학조사 결과에 따르면 혈압이 높아질수록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도 비례해서 커졌다"며 "목표 혈압이 140/90㎜Hg 미만으로 조절이 잘 되고, 기운 빠짐·어지럼증 같은 혈압이 낮아 생기는 증상이 없다면 목표 혈압을 굳이 150/90㎜Hg로 조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정상혈압이라고 알려진 '120/80㎜Hg 미만'도 정상, 비정상의 의미가 아니라 건강에 최적인 혈압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순환기내과 한성우 교수는 "120/80㎜Hg 미만은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가장 낮은 이상적인 혈압"이라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박덕우 교수는 "나이 든 사람 중 혈압약을 먹지 않은 상태에서 혈압이 120/80㎜Hg 미만으로 나오는 사람은 거의 없다"며 "본인의 혈압이 140/90㎜Hg 미만인 경우, 정상 혈압이라고 생각해도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