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제 약효의 절반은 플라시보 효과

입력 2012.12.20 13:46

약효가 전혀 없는 가짜 약을 진짜로 속여 환자에게 복용하게 했을 때 환자의 병세가 호전되는 효과를 ‘위약 효과(플라시보 효과)’라고 한다. 그런데 수면제 효과의 절반이 바로 위약 효과라는 연구결과가 영국에서 발표됐다.

18일 미국 사이언스 데일리의 보도에 따르면, 제트 약물(Z-drug)이라고 불리는 비(非)벤조디아제핀 계열 수면제가 실제 약효는 50%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두 위약 효과였다. 비벤조디아제핀 계열 수면제는 항정신성 신경안정제인 벤조디아제핀 계열 수면제가 갖고 있는 근육이완 등의 부작용을 보완한 약물이다.

영국 링컨대학, 미국 하버드대, 코네티컷 대학이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는 총4378명의 진료자료가 포함된 13가지 연구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팀은 약물 투여 후 환자가 직접 느끼는 개선정도와 실제 수면실에서 잠드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효과를 측정했다. 비벤조디아제핀 계열 수면제는 불면증 환자가 잠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켰다.

또한 연구팀은 수면제에 포함된 성분이 갖는 실제 약효와 약 복용 후 잠이 온다고 생각하는 위약 효과를 비교했다. 그 결과, 실제 약이 갖고 있는 성분보다 훨씬 효과가 더 있었는데, 이는 약을 먹고 잠이 온다고 믿은 환자들의 심리적 반응(위약 효과)이 작용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를 이끈 링컨 대학 니로쉬안 시리와데나 교수는 “이번 연구가 비베조디아제핀 수면제가 불면증 환자의 잠드는 시간 단축을 돕는 한편 그 효과의 절반은 실제 약효가 아닌 위약 효과였음을 보여줬다”며 “위약 효과가 없다면 이 수면제의 약효가 임상적으로 가치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면제의 부작용 등이 다른 연구에서 잘 알려진 만큼 복용 시에 염두에 둬야 한다”며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에는 불면증의 심리치료 효과를 연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영국의학저널(British Medical Journal) 최신호에 실렸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좎럩瑗띰쭩酉몌옙�⑥삕 �좎럥�삼옙占� �좎떬�낅츩占쎈냲�쇿뜝��占쏙옙